2024.06.30 (일)

  • 구름많음동두천 23.7℃
  • 구름많음강릉 22.0℃
  • 구름조금서울 23.8℃
  • 구름많음대전 23.7℃
  • 흐림대구 26.4℃
  • 흐림울산 24.9℃
  • 구름많음광주 23.9℃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2.9℃
  • 흐림제주 26.0℃
  • 맑음강화 22.3℃
  • 구름많음보은 23.3℃
  • 흐림금산 23.5℃
  • 흐림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26.1℃
  • 흐림거제 23.4℃
기상청 제공

[독자투고] 우리나라 지진 대책 강구해야

정병기<인터넷 독자>

지난 12일 발생한 리히터 규모 7.8의 중국 쓰촨성 강진은 대재앙이다. 특히 계속되는 여진으로 사후 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중국당국을 긴장시키고 있다.

진앙지인 원촨현은 거대한 도시 전체가 무너진 잔해와 잿더미 그리고 생사를 가리는 아비귀환의 현장, 바로 그 자체다. 세계의 이목이 쏠리면서 구호의 손길과 지원이 발 빠르게 이뤄지고 있지만 얼마나 많은 생명이 사라지고, 원상복구에는 얼마나 많은 시간과 예산을 들여야 할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쓰촨성 강진은 수직으로 진동하는 직하형 지진으로 여타 지진에 비해 피해가 더욱 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우리나라도 지진에 대한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70~80년대에 지어진 건물들은 지진에 속수무책인 실정이다. 또 지진에 대비해 설계했다는 건물들도 진도 5~6에 대비한 내진 설계로 강진에는 대책이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현재 다가구주택이나 빌라, 연립주택 등은 부실하게 벽돌로 적조되어 있는 구조물로 좌우로 흔드는 지진에 대비책이 없으며, 상하로 움직이는 수직 지진에는 더 더욱 대비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향후 5년 후에는 서울의 경우 80% 이상이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게 된다고 한다. 이들 아파트들이 내진 설계를 했다고는 하지만 이번 중국 쓰촨성 지진과 같은 강진에 온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밝혀지고 있는 현실에서 고층 아파트 건설은 지양되어야 한다.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미래에 다가올 수도 있을 재난과 재앙에 대한 대비책을 완고히 세워 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토개발에 있어 자연재앙을 불러 오지 않게 난개발을 막고 신중한 개발을 위한 노력이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번 난개발에 의한 재앙을 불러 오게 된다면 계속된 재앙이 뒷 따르는 ‘자연재앙 쓰나미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우리도 이번 중국 쓰촨성 대지진 사건을 교훈 삼아 자연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들이 강구되기를 바라며 인간의 욕심에 의한 급격한 생태계 변화나 난개발이 엄청난 자연재해를 부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