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 접경지역·서해 낙도 학교
60개교 659명·53개교 630명 근무
여교사 비중 타 시도 비해 높고
학교운영위원회 구성 어려움 이용
학부모 무리한 요구로 힘들어 해
관사도 대부분 CCTV·방범창 없어
신안 흑산도 여교사 성폭행 사건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가 도서·벽지에 여교사를 신규 발령하지 않는 방안을 시·도교육청과 협의하기로 하는 등 뒤늦게 진화에 나섰지만 경인지역 도서·벽지 근무 교사들도 안전 문제에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가 일고 있다.
특히 경인지역의 경우 여교사 비중이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데다 도서·벽지의 경우 학교운영위원회 등 각종 민간참여 위원회 구성의 어려움에 따른 학부모와 주민 의존도 등도 절대적이고, 기간제 교사 채용의 경우 교육청의 관할 밖이어서 대대적인 변화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전남 섬마을 성폭행 사건과 관련한 향후 대책 논의를 위한 전국 시·도교육청 인사담당과장 회의를 7일 열어 도서·벽지 학교 관사 전체에 CCTV 설치 방안과 10일까지 도서·벽지 학교 관사 안전관리실태 전면조사를 중점 협의한다.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은 안전관리실태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달 말까지 도서·벽지지역 교원 근무환경개선 종합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지만 벌써부터 우려가 일고 있다.
경인지역의 경우 각각 60개교와 53개교에 각각 659명과 630명의 교원이 근무중으로, 접경지역인 연천과 포천, 파주, 양평 등 경기북부지역과 섬지역 낙도 등에 집중돼 있지만 흑산도와 마찬가지로 최근 연립주택 형식으로 지어진 일부 관사를 제외하곤 CCTV나 방범창, 경비 등이 전무하고, 노후화와 접근성 불편 등에 따른 기피현상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교사 대부분이 관사생활이 아닌 출퇴근을 선호하는가 하면 학교시설 중심의 예산 우선 집행 정책 등에 따라 사실상 관사 관리가 방치되고 있는 경우도 수두룩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초교 76.9%, 중학 68.6%, 일반고 51.7%로 여교사의 비중이 높은데다 근무가산점을 위해 자진해 가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나 기간제 교사 채용의 경우 교육청 승인사항이 아닌 점 등도 변수다.
게다가 학사 운영에 학부모 참여와 개방이 의무화되면서 반드시 구성해야 하는 학교운영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 구성을 위한 학부모와 주민 의존도 심화 개선 등의 현실대책은 오히려 빠진 상태여서 ‘말뿐인 회의가 될 것’이란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연천 A초교 교사 B(27)씨는 “아는 사람도 없는 외지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겠다는 책임감 하나 갖고 근무하는데, 이런 일까지 당하면 어느 누가 근무하려고 하겠냐”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경인지역 내 도서·벽지 및 산간지역 관사뿐 아니라 학교 내 보안대책이 철저히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울분을 토했다.
또 다른 한 교사는 “보통 면소재지 학교면 6학급 규모 30명 내외 초등학생들로 학부모가 많아야 2~30명인데 각종 위원회 기구에 학부모 위원을 넣으려 노력하는게 아이들 가르치는 것보다 힘들다”면서 “결국 학부모들의 무리한 요구에도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수두룩한데 각종 안전대책과 함께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도서벽지에 해당하는 병 지역은 임용시 해당 지역에서 뽑기도 하고, 지역 점수가 필요해 희망하는 경우와 근무 가산점을 위해 교사들이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연천, 포천, 파주 등 병 지역에서 근무 중인 교원들에 대한 인사 계획은 없지만 사안이 중대한 만큼 조만간 인사위원회를 열어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훈·류정희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