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사립유치원들이 정부가 추진하는 유치원 국공립 확대 정책에 반발, 집단 휴업에 들어가기로 하면서 학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한국유치원연합회와 경기도유치원연합회 등에 따르면 오는 18일과 25~29일 대규모 집회와 휴업 등 집단행동에 나선다.
사립유치원들은 사립유치원에 대한 정부 지원이 국공립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재정 상황이 열악한 사립유치원 대다수가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공립유치원에는 원아 1인당 한 달에 98만원이 지원되는 반면 사립유치원의 경우 방과후과정 7만원을 포함해도 29만원만 지원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오는 18일 1차 휴업을 강행하고, 이후에도 정부 태도에 변화가 없으면 25∼29일까지 5일간 2차 휴업을 할 예정이다.
특히 도유치원연합회는 한총연이 주장하는 것 외에 도교육청의 ‘부당 감사’를 주된 휴업 이유로 내세우며 도내 1천100여곳의 유치원 집단 휴업을 예고했다.
실제 유치원연합회 소속 사립유치원들이 지난 1일 각 원아 가정에 휴업 관련 안내문을 발송하자 학부모들의 당혹감도 커지고 있다.
1차 휴업은 단 하루이지만 2차 휴업까지 이어질 경우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맞벌이 가정은 물론 전업 주부들의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세 자녀를 키우는 직장인 A씨(40)는 “첫째와 둘째는 초등학생이라 학원 등에서 시간을 보낼 수 있지만, 막내의 경우 유치원을 보내지 않으면 당장 부부 둘 중 한명은 연차를 써야 한다”면서 “하루라면 몰라도 5일이나 휴가를 낸다면 회사에서 나가라는 소리를 들을 것 같다”고 말했다.
유치원생과 2살 아이를 키우는 전업주부 B(34)씨는 “큰 아이 방학 내내 집에서 아이 둘을 돌보느라 진이 다빠졌는데 또 휴업을 한다면 온 종일 집에서 애만 보고 있어야 된다는 얘기냐”며 “이런 고민을 언제쯤 안할 수 있는 나라가 될 지 참으로 답답하다”고 하소연했다.
한편 교육부는 각 시·도교육청과 함께 대책을 강구하고 실제로 단체행동에 들어갈 경우 학습권 침해 행위로 간주하고 엄정 대처한다는 방침이다./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