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안민석(오산·사진) 의원은 4일 병역특례 폐지 논의와 관련, “국민 공론화를 통해 제도를 개선해야 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인 안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운동선수 병역특례는 45년 전에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이제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는 국민 요구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의원은 “더는 병역특례 제도가 ‘로또’가 돼선 안 된다는 입장이 분명하다”며 “병무청이나 대한체육회가 일방적으로 정하는 방식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병역특례의 완전 폐지에 대해선 “조금 성급하고 위험한 발상”이라며 “폐지가 능사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군 복무 기간인 2년의 공백이 선수 생활에 큰 영향을 준다. 그 시기가 운동선수들 입장에서는 몸 상태가 최정점인 시기로 그때 군대에 가게 되면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병역특례 제도가 필수불가결해진 것”이라며 “그 본질적인 것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대안으로는 은퇴 후 일정 기간 재능기부를 해 군대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안 의원은 “가령 이번에 면제 혜택을 받는 손흥민 선수가 유럽 프로리그에서 열심히 뛴 다음 학교 축구부나 유소년 클럽 아니면 섬마을에 가서 자기 재능을 갖고 지도를 하게 되면 국민과 선수 모두에게 득이 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병역특례를 대중예술인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선 “(병역특례의) 폭을 넓히되 시대에 맞게 공정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산=지명신기자 m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