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동두천 2.5℃
  • 맑음강릉 9.1℃
  • 박무서울 5.5℃
  • 맑음대전 4.0℃
  • 맑음대구 5.8℃
  • 맑음울산 9.3℃
  • 맑음광주 4.0℃
  • 맑음부산 10.9℃
  • 맑음고창 0.3℃
  • 맑음제주 7.8℃
  • 맑음강화 3.9℃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6℃
  • 맑음강진군 1.7℃
  • 맑음경주시 3.2℃
  • 맑음거제 6.8℃
기상청 제공

젊은층 외면 청년복지포인트 내년 대폭 축소

지원금액 적고 활용도 떨어져
모집목표比 신청자 23% 불과

도, 대상인원 1만명으로 줄여

경기도의 청년복지정책 중 하나인 청년 복지포인트 사업이 내년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12일 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가 올해 추진한 청년 복지포인트 수시모집에 1만3천554명이 신청했다.

이는 6만명 모집목표 대비 23%에 불과한 추진 실적이다.

청년 복지포인트는 만 18∼34세의 도내 중소기업 청년근로자에 근속 기간에 따라 연간 80만∼120만원의 복지포인트를 지급하는 게 핵심이다.

복지포인트는 경기청년몰 등에서 도서 등을 구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월급 250만원 이하 청년근로자 기준 월 최대 10만원의 급여가 추가로 지급되는 셈이다.

신청이 저조한 데는 다른 청년정책 대비 지원금액이 적고, 활용도도 떨어지는 게 원인으로 꼽혔다.

도는 청년 연금과 청년 마이스터통장에 반해 청년 복지포인트는 상대적으로 적은 지원금액과 비현금성으로 인해 인기가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청년연금은 청년근로자가 10년 이상 매월 일정액(10만원, 20만원, 30만원 중 선택)을 납입하면 도도 동일한 금액을 매칭방식으로 지원, 퇴직연금을 포함해 최대 1억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청년마이스터통장은 제조 분야 중소기업 청년근로자에게 2년간 월 30만원씩 임금을 직접 지원하는 사업이다.

다른 청년정책 시리즈와 중복수혜가 안되는 점도 신청률 저조의 이유중 하나다.

도는 내년부터 대상인원을 1만명으로 줄이고, 유튜브와 SNS 등 청년들 맞춤 홍보를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임하연기자 lft13@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