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실버존사업’ 생색내기 수준

2008.08.07 22:38:05 2면

60대이상 어르신 교통·안전사고 사망률 높은데…
총 5개 市 운영… 서울시比 홍보 등 확대 노력 소극적
노인회관 양로원 주변만 한정 공원 등 확대 지정 필요

고령화사회 급증하는 노인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도입된 ‘실버존(Silver Zone·노인보호구역·만 65세이상)’ 사업이 점점 확대 운영되는 서울시의 경우와 달리 도는 생색내기 수준에 그쳐 노인들을 서럽게 만들고 있다.

특히 도내 전체인구 1천100여만명(외국인 제외)중 약 8%에 달하는 87만1천여명이 노인인구이며 60대 이상의 사망확률이 40~50대의 3배에 달한다. 이가운데 상당수가 교통 및 안전사고 등으로 숨져 실버존 확대설치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7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실버존 사업 도입을 위해 지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파주, 안산, 평택, 양주 등 4개 시에 60여억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구리시가 자체 시행하는 등 도내 총 5개 시가 실버존을 실시· 운영 중이다.

반면 서울시는 송파, 양천, 도봉 3개구에서 관내 대형 노인복지시설을 실버존으로 지정·운영 중인데 이어 3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강남, 구로, 은평 등 15개 구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실버존은 노인복지시설이 해당 지자체장에게 설치를 요청하면 지자체와 경찰청이 협의해 복지시설의 300m 안에서 구역을 지정해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실버존으로 지정되면 차량속도가 시속 30㎞이하로 제한되고 방호울타리와 과속방지턱 등도 설치 운영토록 해 노인들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실버존’ 운영은 노인요양원 등이 시범운영지역으로 지정, 운영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실버존 설치를 위한 추가 신청은 전혀 없어 홍보가 미흡하다는 지적마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도는 지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안전시범도시사업 조성으로 선정된 파주 등에 매년 5억원씩 지원하고 있다”면서 “실버존 설치비용이 한 곳당 1억5천만∼2억원 정도 소요돼 지자체에서도 필요하다 생각될 때 지정,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존하 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장은 “실버존이 노인회관이나 양로원 주변만 지정대상이어서 실제 노인들이 많이 모이는 공원이나 게이트볼장 등은 제외돼 개선책이 필요하다”며 “노인인구와 노인요양, 복지시설 등은 증가하고 있으나 노인들에 대한 안전보호의식은 아직 후진국 수준”이라고 비난했다.

또 “많은 노인들이 실버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면서 “실버존 설치 운영에 많은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버존을 시행하고 있는 구리시 여성노인회관 안상운 운영팀장은 “실버존 도입이후 많은 노인분들이 좋아하고 있다”며 “과속방지턱 설치로 차량속도가 많이 줄고 시멘트로 만들어진 보도블럭은 폐타이어로 교체해 관절이 좋지 않은 노인분들의 무릎부상 방지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일형 기자 jih@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