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가 연말 정국의 갈등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에는 여야 갈등뿐만 아니라 여당 내 갈등 그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우선 정부와 여당 일부 의원들은 세종시 수정론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분위기다. 총리실은 이미 세종시 전담기구를 마련해 세종시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또한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임동규 의원이 지난달 29일 심재철 한나라당 의원, 이춘식 한나라당 의원 등 9명의 의원들의 찬성 서명을 받아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처럼 여권을 중심으로 세종시 수정론을 고수를 하고 있지만 민주당과 자유선진당은 원안 고수라며 극한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1일 여의도 당사 기자간담회에서 “여야 합의로 입법이 이뤄지고 그 법이 실행되고 있는데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어떻게 백지화를 시키느냐”면서 “방법도 비겁하다. 그 지역 출신을 총리로 기용해 그 사람의 손을 통해 백지화하겠다는 태도는 비겁하고 치졸하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오는 5일부터 실시되는 대정부 질의에서 세종시 문제를 집중 추궁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민주당 소속 지역위원장은 원안 추진을 주장하며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자유선진당은 그 투쟁의 강도가 더욱 높다.
세종시법 수정 입법을 발의한 한나라당 임동규 의원 등 10명을 이른바 ‘세종시 10적’으로 규정한 뒤 2일부터는 대규모 집회를 예고하고 있다.
한편 여당 내부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이미 박근혜 전 대표가 원안 고수를 주장하고 나서면서 친이-친박 갈등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에 수도권을 기반으로 한 친이와 비수도권을 기반으로 한 친박의 싸움으로 번질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세종시 문제가 연말 정국의 핵으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저마다 세종시를 놓고 동상이몽을 갖고 있어 해법 찾기가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