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이 최근 수원시장 단일 후보로 민주당 염태영 후보를 선출한 가운데 이들의 단일화 조건으로 합의된 ‘공동지방정부론’이 선거 쟁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18일 지역 정가와 관가에 따르면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지난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염태영 후보를 단일 후보로 선출했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단일화 조건으로 상호 신뢰와 신의로 선거 운동에 협력하는 것은 물론 정책 공조와 당선 이후에는 민노당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공동지방정부’를 구성하는 조건으로 합의했다.
이어 민주당은 오는 25일까지 진보신당과 협의를 통해 범 야권 단일화를 형성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야권의 이 같은 행보는 이명박 정부 심판론과 더불어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연합전선을 펼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야권의 공동 지방정부론에 대해 바라보는 대체적인 시각은 곱지만은 않다.
정책 중심의 공동 정부보다는 ‘자리 나눠먹기’ 식의 공동 정부로 변질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 “조건 없는 단일화라면 모를까 공동지방정부론은 자칫 양 당의 당직자들이 주요 요직이나 산하단체의 자리를 나눠 먹기식으로 변질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무소속 후보 캠프 한 관계자도 “과연 공동 지방정부라는 것이 실행 가능한 것인지 의심스럽다”며 “결국 본인들끼리 자리를 나누기 하겠다는 것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일선 공무원들 조차 향후 공동 정부가 수립될 경우 단체장의 권한이 약해 질 수 있어 시책 추진 사업들의 혼선을 우려했다.
수원시의 한 공무원은 “지방 정부는 중앙 정부와 달리 공동 정부라는 것이 수립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다”며 “자칫 단체장의 권한이 약해져 시정 운영의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