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공해유발 우려와 함께 행정기관간 협의를 파기한 영흥화력발전소 증설에 강력한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지식경제부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에 석탄연 사용을 전제로 한 영흥화력발전소 7, 8호기(각각 870㎽급)추가건설 계획을 포함하나 시는 지역환경영향에 대한 고려 없이 전력수급 연건과 경제적 편익만을 우선한 추가건설을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4일 허종식 시 대변인은 “정부의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국가 에너지 정책의 의사결정에 이해당사자인 시와 시민의 의사를 철저히 배제한채 진행됐으며, 특정지역에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인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를 집중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영흥화력 7, 8호기 건설은 청정연료 사용이라는 기존합의를 파기해 행정의 심각한 신뢰훼손을 초래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전략 및 국제적 약속에도 역행할 뿐아니라 전력수급계획은 효율적 수요관리가 아닌 공급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허 대변인은 “수도권지역 발전소 중 유일하게 유연탄을 사용하는 영흥화력발전소는 현재에도 관내 사업장 총배출량 대비 SOx68%, NOx30%를 배출하고 있으며, 5, 6호기에 이어 7, 8호기까지 건설돼 가동되면 대기오염물질 과다배출로 인한 시와 수도권 시민의 삶의 질이 나빠져 그동안의 지역 대기질 개선노력을 무산시키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허 대변인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제점을 외면하고 7, 8호기 발전소 추가건설을 강행한다면 시민과 함께 강력히 대응하겠다”면서 “아울러 증설여부를 포함한 에너지정책결정시 지방정부, 지역사회의 이해 당사자참여보장을 위한 제도마련도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