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먹거리의 안전한 제조를 위해 식품제조·가공업체 중 상습·고질업소에 대해 식품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많은 공무원을 멘토로 지정, 식품위생법 및 위생관리에 대한 멘토링(현장코칭)을 실시해 부정·불량식품의 사전예방과 시민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26일 시에 따르면 시 소재 식품제조·가공업소 784개소 중 약 70% 정도가 소규모(100㎡이하) 업체이며, 종업원수 5인 미만인 영세규모로, 영업주가 생산과 물품배송을 직접 담당하는 등 시간적 여유가 없다.
또한 1년에 한 번 실시하는 정기 위생교육으로는 복잡한 식품위생법 및 식품공전 등 관련규정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합동 위생점검 등 각종 위생점검 시 식품위생법 규정을 위반해 행정처분을 받는 등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이런 상습적이며 고질적인 부정·불량식품 제조업소에 대해 위생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부정·불량식품을 사전에 예방키 위해 ‘찾아가는 안심 멘토링’을 실시, 직접 식품·제조가공업소 현장을 찾아 위생 상태를 진단해 줄 예정이다.
이를 위해 오는 12월까지 시범적으로 월 1회 대상업체를 순회, 현장코칭을 실시하고 매번 위생관리평가를 실시키로 했으며, 상반기 및 하반기에 안심 멘토링 추진사항에 따른 평가를 실시할 방침이다.
김계애 시 위생정책과장은 “식품 제조·가공업체들이 발전하려면 위생수준을 한 단계 더 높여 부정·불량식품이 생산되지 않토록 노력하는 것은 물론, 위생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을 개발해 식품 제조·가공업소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