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여론이 인천내항 개방에 따른 정부의 무대책을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인천시와 인천경제단체, 항만관련기관 및 인천지역 시민단체로 구성된 ‘시민친화적 내항 활용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인천항만 부두운영사(TOC) 계약이 만료되는 오는 30일이 코앞에 닥쳐오고 있으나 정부는 인천 내항 개방에 따른 아무런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며,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8일 인천시 허종식 대변인과 김광석 항만공항해양국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TOC 계약이 만료되는 오는 30일 이후에는 반드시 내항 8부두가 개방돼 시민광장, 친수공원으로 이른 시일안에 조성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위원회도 이날 성명을 통해 “정부는 인천내항 개방 대책을 조속히 마련, 추진하고 개방될 1·8부두를 약속한 대로 친수공원으로 조성해야 하며, 내항 개방에 따른 제반대책 및 재원 마련방안을 조속히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시민들은 그동안 내항 인근 주민들이 부두 작업으로 인한 소음과 분진, 교통체증 등의 피해를 수십년 동안 입어 왔으며, 이에 내항을 시민 품으로 돌려받기 위해 2007년 10월의 국회 청원 등 꾸준한 노력을 펼쳐왔다.
그러나 현재 항만 개방에 따른 정부대책은 전무한 실정으로 새 정부에서 부활한 해양수산부는 8부두 우선 개방과 관련해 항운노조원의 전환 배치, 부두운영사의 이전 등의 대책에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원회는 “인천항만공사도 보다 적극적으로 대책 마련에 나서줄 것을 촉구하며, 오는 30일 계약 만료 이후 무조건 개방을 요구하는 시민의 열망을 수용해 부두운영사 이전 대책 등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제는 항만 관련 업계, 단체 등에서도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며, 부두운영사 계약 만료일은 지난 2007년부터 이미 정해진 일정인 만큼 항만 관련 업계에서도 자구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시는 내항 8부두 우선개방에 대해 관련단체, 업계 등은 상호간 갈등 보다는 서로 의견 조율을 통해 무엇이 가장 시민을 위한 것인지 원만한 합의가 도출되기를 희망하며, 내항 8부두가 시민들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이른 시일 안에 조성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