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 연장종료를 둘러싼 인천시와 서울시의 지자체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수십년간 악취와 분진, 소음과 같은 오염물질에 고통을 받아온 수도권 매립지 인근 주민들은 6일 서울시의 쓰레기 매립지 사용기간 연장에 반발, 강경 대응에 나섰다.
수도권 매립지 인근 주민 등으로 구성된 ‘수도권 매립지 종료를 위한 인천시민연대(이하 인천시민연대)’는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체폐기물처리시설 부지가 없다는 이유로 쓰레기 매립지 사용 기간을 2044년까지 연장하려는 환경부와 서울시를 맹비난 했다.
인천시민연대는 “버티면 된다는 시간 끌기와 잘못된 정보로 언론을 이용해 서울시가 시민에게 매립지 연장 사용의 당위성을 공공연히 홍보하고 세뇌하고 있다”며 “쓰레기매립이 기존 계획대로 오는 2016년 종료돼도 30년이상 사후관리가 필요한 시설로, 침출수 및 매립가스로 인한 인천시민의 고통이 바로 끝나는 것이 아닌데도 서울시와 경기도는 아무런 노력도 않고 시간끌기와 억지 논리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주민들의 건강권, 환경권, 행복추구권을 박탈하는 것은 폭력이며 거짓을 진짜로 둔갑시켜 밀어붙이려는 서울시와 경기도는 인천시민을 더 이상 농락하지 말고 각자의 쓰레기는 자신들이 알아서 처리할 것”을 촉구하고 “박원순 서울시장이 매립지 사용 연장 추진을 멈추지 않으면 지역 환경단체나 시민단체와 연대해 대규모 집회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천시민연대는 최근 공석중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에 환경부 관료출신을 내정하려 한다는 움직임을 두고 매립종료의 의지가 없는 낙하산 인사를 강행할 경우 강경대응으로 대규모 집단 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현재 매립지공사는 지난해 말부터 5개월 가까이 공석인 사장 자리를 채우려고 신임 사장 공모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부 관료출신을 사장으로 선임할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한편,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는 지난 1989년 조성 당시 환경부·서울시·인천시가 오는 2016년까지 사용을 종료하기로 합의했으나 최근 서울시가 2044년까지 사용연장을 추진, 인천시가 이에 반발하며 양 지자체간 갈등이 불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