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은 23일 오후 인천대교 인근 해상에서 골든타임 사수를 위한 항공기용 구명벌, 구조용 에어매트 등을 이용해 ‘대규모 해양사고 대비 민·관·군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신속한 상황 전파와 초기 구조세력 현장투입,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 점검 등 인명구조 능력 강화에 목표를 두고 민·관·군이 참여하는 대규모 합동훈련으로, 정홍원 국무총리, 안전행정부 장관, 국회의원 기관·단체장, 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또한 해양경찰 경비함정 20척, 해군 3척 등 9개 기관 선박 31척과 해양경찰 소속 비행기 등 4대, 해양경찰관 350명, 해군, 소방, 항만청, 학생 등 총 53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여객선 현대크루즈호의 화재상황을 가상해 진행됐다.
현대크루즈호의 구조 요청으로 시작된 이번 훈련은 상황 전파, 현장 도착, 선내 진입, 해상 익수자 구조, 구조장비 설치 및 선내 인명구조, 화재 진압 순으로 훈련을 진행됐다.
특히 이번 훈련은 신고 접수 직후 초기 비행기를 투입, 주·야간 언제든지 사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섬광탄을 터뜨린 뒤 구명벌(뗏목)을 투하시켜 표류자들의 생존시간을 연장하게 하는 등 골든타임 사수를 위한 차별화에 중점을 둔 훈련을 펼쳤다.
이는 시속 30~40㎞에 불과한 경비함정 및 기타 선박이 신속하게 사고 현장에 도착할 수 없는 해상 인명구조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이날 해양경찰 3008함 함미에서 훈련 상황을 참관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관계기관간 유기적인 협업은 최근 날로 복잡해져가는 사고 형태를 감안할 때 가장 중요한 분야”라며 “실전훈련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미흡한 부분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해양경찰 관계자는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새로운 방법을 도입해 훈련을 실시하게 됐다”며 “반복 훈련을 통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해양경찰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신재호·하강지기자 s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