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부분은 납품단가가 적정치 않아 자신의 제품이 제 값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기업(원사업자)이 단가 책정에 인색해 인건비 등 비용이 납품단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중소 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3∼22일 국내 중소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2013년 제조원가를 100으로 봤을 때 올해 제조원가는 106.2로 6.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무비(107.4)·경비(106.5)·재료비(103.6) 등이 전체적으로 올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제조원가 인상 요인으로는 '노무비 인상'을 꼽은 기업이 46.6%로 가장 많았다.
반면 납품단가는 지난해 99.2, 올해 98.6으로 2년 연속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소 제조업체의 61.7%는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인상수준은 17.2%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조사에 참여한 업체 가운데 48.7%는 ‘정작 납품단가를 올려달라고 요청한 경험이 없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거래가 끊길까봐 우려(26.0%)하거나 인상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24.7%)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중소 제조업체들이 선호하는 결제방식으로는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7.0%), '납품단가 제값받기'(31.3%), '신속한 현금결제'(19.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에는 '주기적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처벌 강화'(25.0%),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21.7%) 등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경기본부 관계자는 “지난해 공정위가 대금 지급 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등 불공정행위 개선에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느끼는 납품단가 현실화는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