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인상 등 연초 강력한 금연정책이 실시된 이후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6%포인트 가까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27~6월10일 19세 이상 남녀 2천544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1.94%)를 실시한 결과, 성인남성의 흡연율(궐련 담배 기준)이 작년 40.8%에서 5.8% 포인트 떨어진 35.0%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흡연자 7명 중 1명이 1년 사이 담배를 끊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연자 3명 중 2명꼴인 62.3%는 담뱃값 인상을 계기로 금연을 실천했다고 답했다. 흡연율은 30대가 40.5%로 가장 높았으며 흡연율 하락폭은 50대에서 가장 컸다.
40대 흡연율은 39.7%로 두번째로 높았고 20대(19세 포함) 39.0%, 50대 35.8%, 60대 23.5%, 70대 15.5% 순이었다.
1년 사이 50대의 흡연율이 7.2%포인트 줄어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60대와 30대는 각각 6.1%포인트, 5.8%포인트 흡연율이 낮아졌다.
금연 열풍의 영향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는 전년보다 두배 이상 늘었다.
올해 1~6월 보건소 금연클리닉 이용자는 작년 동기보다 106.8% 증가한 40만2천710명으로 집계됐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