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주택담보대출의 폭발적인 증가가 지역경제에 치명상을 입힐 뇌관이 될 것으로 보여 우려되고 있다.
특히 대출금리가 오르거나 주택가격이 내릴 경우 파괴력은 더욱 커져 시급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15일 한국은행 경기본부에서 열린 금융인 포럼에서 김자혜 기획금융팀 과장은 ‘최근 경기도 가계대출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한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날 발표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가계대출은 지난해 6월 말 178조5천억원에서 올해 4월 말 189조7천억원으로 11조2천억원(6.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폭으로 보면 서울 18조6천억원(8.9%)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이어 △대구경북 8조2천억원 △부산경남 7조4천억원 △대전충남 3조3천억원 △광주전남 2조4천억원 등의 순이었다.
경기도 가계대출 전체 증가액 11조2천억원 중 주택담보대출이 92.8%(10조4천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이 비중만 놓고 보면 전국에서 최대규모다.
가계대출이 주택담보대출에 편중된 것은 은행의 LTV(담보인정) 비율 완화로 주택거래가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실제 도내 주택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1분기 5만9천 호 ▲2분기 5만9천50 호 ▲3분기 6만 호 ▲4분기 6만4천호에 이어 올 1분기에도 6만2천호를 기록해 증가추세에 있다.
같은 기간 신용등급 7~10 등급의 저신용자들의 대부업 대출도 지난해보다 4.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행권이 리스크 관리 강화 차원에서 대출기준을 엄격히 하면서 저신용자들이 대부업권으로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3월 말 기준 도내 가구당 가계대출도 4천400만원을 기록해 서울(6천100만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처럼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수위가 점점 높아지면서 가계부채 억제를 위한 근본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주택공급 조절을 통한 가격 안정과 취약계층의 금융지원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은 경기본부 김자혜 과장은 “중장기적으로 인구구조의 변화 등에 따른 주택수요 변동을 감안해 주택공급 물량을 조절하는 등 주택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파산 직전에 이른 취약계층을 위한 재무 및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윤현민기자 hmyun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