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25년까지 그린뉴딜에 73조4천억원 투자

2020.07.16 15:58:18 5면

 

정부가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를 사회 전반에 확산하기 위해 2025년까지 태양광·풍력설비를 지난해의 3배 이상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환경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그린뉴딜’ 계획을 발표했다.

 

그린뉴딜 계획은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와 함께 코로나19를 불러온 기후·환경위기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추진된다.

 

그린뉴딜 계획으로 ▲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 3대 산업 분야가 지정됐다.

 

이를 위한 8개 추진 과제로 ▲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 국토·해양·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녹색산단 조성 ▲ R&D·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등이 제시됐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설비 설치, 단열재 보강, 친환경 자재 시공 등 건물을 ‘따뜻하고 쾌적한’ 곳으로 만들기 위한 그린리모델링이 추진된다.

 

공공 임대주택 22.5만호, 국공립 어린이집, 보건소 및 의료시설 2천여 동, 문화시설 1천여 개소 등 공공건물에 선제적으로 적용한다.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고, 물·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스마트 상·하수도 사업 및 상수도 고도화 사업도 추진된다.

 

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를 육성하는 ‘그린에너지’ 사업을 추진해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지난해 12.7GW에서 2025년까지 42.7GW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직접 투자하는 지역주민에게 융자를 지원하는 ‘국민주주 프로젝트’를 도입하고, 수익이 주민에게 환원될 수 있도록 이익공유모델을 설계한다.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RPS) 비율을 현행 8%에서 내년까지 10%로 상향하고 기업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하는 캠페인인 ‘RE100’의 이행수단을 마련해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의 참여 확대를 유도한다.

 

정부는 국내 시장확대가 산업 생태계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태양광·해상풍력·수소·수열 분야 핵심 R&D 및 연구인프라 구축도 지원한다.

 

수소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2025년까지 6개의 수소 시범도시를 조성할 방침이다. 2022년까지 울산, 전주·완주, 안산에 3개 수소도시를 먼저 조성하고, 2025년까지 3개 도시를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신규 사업인 에너지 효율화와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사업도 추진한다.

 

아파트 500만호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지능형 전력계량기 보급하고 노후건물 3천동의 에너지 진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수요관리 투자 확대를 촉진한다.

 

아울러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누적 기준)하고, 전기차 충전기는 1.5만대(급속), 수소 충전소는 450개소를 설치한다.

 

부는 녹색산업을 발굴하고 R&D 지원 등 녹색 혁신 여건을 조성하는 데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1조9천억원 규모의 녹색 융자 및 2천150억원 규모의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해 기업들의 투자를 돕는다.

 

정부는 이러한 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총 73조4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로 일자리 65만9천개가 창출되고, 1천229만t의 온실가스가 감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그린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라는 점을 강조하며 “그린뉴딜을 통해 우리나라가 저탄소 경제의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오재우 기자 ]

오재우 기자 asd132@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