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6일 오후 3시 47분쯤 이천시에 있는 초등학교 교육환경 보호구역(학교와 70m 떨어진 곳)에서 설비가 금지된 밀실을 설치한 후 여종업원을 고용해 마사지 영업을 한 업주 등 3명이 검거됐다.
#. 지난달 17일 오후 9시쯤 부천시에 있는 유치원 교육환경 보호구역(유치원과 135m 떨어진 곳)에서 잠금 장치가 있는 밀실에 샤워실과 침대를 설치하고, 남성들에게 1인당 12만 원을 받고 불법 성매매를 알선한 업소를 운영한 업주 등 2명이 검거됐다.

경기남부경찰청이 개학 시기에 맞춰 학교 주변 유해업소를 대상으로 집중 단속을 벌인 결과, 불법 풍속업소 총 77곳을 단속하고 84명을 입건했다고 1일 밝혔다.
경기남부청은 앞서 지난 달 2일부터 같은 달 26일까지 건전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지자체, 교육지원청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학교 주변 유해업소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해 왔다.
단속 대상은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9조에 따른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 금지시설 및 금지행위(성매매, 유사 성교행위 등)와 성매매 광고, 청소년 출입·고용금지업소 등 위법행위였다.
그 결과,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에서 불법 풍속영업을 한 업소 총 77곳을 단속하고, 업주 등 84명을 입건했다.
업종별로는 불법 마사지 업소가 64곳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7곳, 인형 뽑기방 6곳, 성인용품점 1곳이 뒤를 이었다.
혐의별로는 교육환경보호법 위반(45명)과 성매매특별법 위반(39명) 등이다.
경찰은 단속과 함께 청소년 유해 광고물 차단을 위한 활동을 병행해 성매매 홍보 광고물에 사용된 전화번호 총 421개를 ‘성매매 광고 차단시스템’에 등록하는 한편, 교육청․지자체 간 협업 체계를 구축해 단속한 유해업소는 반드시 폐쇄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학생들의 건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불법 업소에 대해 지속적으로 단속 활동을 벌일 예정”이라며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유해업소 폐쇄를 끝까지 추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작년 11월부터 성매매 사범에 대한 집중 단속과 수사 활동을 벌인 결과, 현재까지 총 333명을 검거, 그 중 7명을 구속하고, 불법 영업수익금 총 9억1200만 원을 몰수했다”며 “앞으로도 성매매 사범에 대한 적극적인 단속과 건물주 처벌 및 불법수익 환수 등을 통해 성매매 근절 활동을 지속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