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5월 투쟁, 회한 깃든 패배 아닌 민주화의 소중한 과정 ”

2021.05.14 06:00:00 6면

김동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사업소장
“성과 없다고 민주화 운동이 아닌가… 재평가 해야”
91년 5월 투쟁 30주년 기념 기획전·합동추모제 등 준비

 

봄비가 적시고 간 5월의 이천 민주화운동기념공원은 고요하고 아늑했다. 코로나19로 방문객은 비록 줄었지만, 이곳에 잠든 60기의 민주화 운동 관련 희생자 영령은 늘 그 자리에서 조용히 가족과 친구들을 기다린다.

 

묘역 한 편에서 강경대의 비석을 바라보는 김동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사업소장의 눈빛이 슬프다. 김동민 소장은 당시 대학 새내기던 강경대에 대해 “백골단에 맞아 죽었다”라고 했다. 김귀정에는 “대한극장 인근 시위 중 경찰에 짓밟혀 죽었다”라고 표현했다.

 

입에 담기 힘든 표현이나 사실이었다. 91년 5월 투쟁으로 꽃처럼 스러진 영혼이 13인이다. 이중 10명은 분신했다. 학생, 노동자 등 평범한 시민들이었다. 촉발은 명지대 신입생 강경대가 노태우 정권 타도, 학원자주화 투쟁을 외치다 경찰폭력에 의해 사망한 일이었다. 이를 규탄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들불처럼 번지며 일이 벌어졌다. 담담히 이를 설명하는 김동민 소장의 목소리가 떨려왔다.

 

“민주화 운동은 한 판 승부가 아니에요. 성과가 없다고, 패배했다고, 결국 제압됐다고 평가절하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김동민 소장은 ‘5월 투쟁’의 역사적 위상을 하루빨리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5월은 광주, 6월은 6월 항쟁만을 기억한다”라며 “그러나 1987년 6월 항쟁의 연장선에 1991년 5월 투쟁이 있다”라고 강조했다.

 

 

 

5월 투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오해와 상처도 존재한다. 강기훈 전국민족민주연합 사회부장의 김기설 유서대필사건이 그랬다. 2015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김기설의 유서를 대필하고 극단적 선택을 방조했다”는 공안기관과 언론의 무책임한 거짓 결론은 당시, 어쩌면 여전히 국민들의 머릿속에 잘못된 채로 남아있을지 모른다.

 

정원식 계란 투척 사건도 있다. 1991년 6월 3일 한국외대에서 당시 국무총리 서리에 임명돼 마지막 강의에 선 정원식에게 대학생들이 계란, 밀가루 등을 집단으로 투척했다. 밀가루를 하얗게 뒤집어쓴 정 씨의 모습이 신문에 실리자 모든 대학 운동권을 패륜아로 매도됐다. 국민들이 돌아선 결정적 계기였다.

 

그래서일까. 6월 항쟁을 떠올리면서도 직후 벌어진 5월 투쟁에 대해 언급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미디어에 간간히 ‘회한 깃든 패배한 투쟁’으로 비춰질 뿐이다. 그러나 김동민 소장의 생각은 다르다. 투쟁의 성과가 없다고, 패배로 끝났다고, 상처가 있다고 해서 민주화 운동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김 소장은 지난해 초 부임하며 가장 먼저 5월 투쟁의 의미를 다시 새겨 알려야겠다고 결심했다.

 

김 소장은 “모든 혁명이 성공을 하지는 않는다. 비록 좌절했다 하더라도 그때의 희생과 저항이 의미 없지 않다. 개혁의 정신 자체로 민주화의 소중한 과정인 것”이라며 “특히 5월 투쟁은 패배라 여기고 제대로 된 평가조차 받지 못했다. 10주년, 20주년 추도식 정도 행사 외에는 공식적인 기념행사도 없었다. 그 분위기를 바꿔보고 싶었다”라고 전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준비한 일은 91년 5월 투쟁 30주년 기획전 ‘기억과 만남, 민주세상을 꿈꾸며’다. 2016년 민주화운동기념공원 개관 후 꾸준히 연간 기획전시를 해오긴 했으나, 올해엔 30주년에 맞춰 규모와 예산을 대폭 늘려 14일부터 10월 29일까지 연다.

 

 

김동민 소장은 “5월 투쟁 때 목숨을 잃은 13분의 열사 모두를 공개한다. 강경대 열사가 사건 당시 착용하고 있었던 시계와 운동화도 내놨다”라며 “사진과 유품뿐 아니라 5월 투쟁 당시 상황과 흐름을 볼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했다. 왜 몸을 불사르며 투쟁했는가에 대해 고민하고 깨닫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올해 또 하나의 프로젝트는 오는 10월 17일 준비 중인 합동추모제다. 현재는 민주화 운동 관련 희생자의 기일이면 가족, 당시 동료들이 묘역에 찾아와 개별적으로 추모를 하고 있다. 김 소장은 “이제 한 날 한 데 모여 함께 슬퍼하고, 마음을 다잡는 시간이 필요할 때”라며 “자체 문화제 형식으로 진행해 열사들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다짐하는 기회로 삼고 싶다”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김동민 소장의 또 다른 염원은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 심의 재개다. 김 소장은 “지금도  민주화 운동으로 유죄판결을 받거나 불이익을 당한 분들이 때를 놓쳐 신청조차 못한 경우가 많다”며 “하루빨리 관련 법 개정이 이루어져 당시의 저항을 명예로 인정받기를 간곡히 바란다”라고 말했다.

 

대화 내내 민주화 운동 희생자만을 염두하는 모습에서 김동민 소장 머릿속 주파수는 ‘민주화 운동’에 꼭 맞춰져 있다고 확신했다. 김 소장의 염원과 더불어 ‘기억과 만남’ 기획전, 10월 합동추모제 등을 거치며 5월 투쟁의 참 의미와 불처럼 타올랐던 열사들의 민주정신이 국민들의 마음에 닿기를 바라본다.

 

■ 김동민 민주화운동기념공원사업소장

고려대 졸업

한양대 대학원 언론학 박사

한일장신대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전북민언련 공동대표

민언련 공동대표 역임

현재 민주화운동기념공원 소장

 

[ 경기신문 = 노해리 기자 ]

노해리 기자 haeri@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