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년 5월 투쟁은 6월 항쟁을 넘어선 5월 민주화 투쟁으로 불러야 한다”라는 주장이 나왔다.
송병헌 전 민주화운동보상심의위원회 대표전문위원은 28일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91년 5월 민주화운동 30주년 의미와 과제’ 세미나 세션 1에서 ‘91년 5월 투쟁의 민주변혁적 성격과 한국 민주화운동사적 의미’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며 이 같은 의견을 냈다.
송병현 전문위원은 발표에서 “91년 5월 투쟁의 ‘비극적 인식’은 호칭, 트라우마, 패배라고 보는 패배담론 등에 따른 것”이라며 “민주, 민중이라는 수식어가 없어 의미가 덜 부각됐다. 또 죽음, 분신을 도구화했다는 담론, 유서대필 사건·외대 사건 등에 따른 도덕성 훼손 담론 등이 문제가 됐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독재자를 퇴진시켰다는 1960년 4월 민주혁명이나 직선제 개헌을 성취한 1987년 6월 민주항쟁 등과 달리 가시적 성과가 없다는 평을 받으며 잊고 싶은 역사로 기억하는 이들도 있다”라며 “그러나 이러한 요인은 5월 투쟁 자체의 실패라기보다는 한국 민주화운동 자체의 제약이다. 5월 투쟁은 6월 항쟁을 넘어선 더 많은 민주화 투쟁으로 불려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후 펼쳐진 관련 토론은 김형배 방송문화진흥회 감사의 사회로, 김정한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안영민 1991년 열사투쟁 30주년 기념사업회 집행위원장, 임형진 경희대학교 교수 등이 패널로 나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정한 교수는 “한국사회는 6월항쟁 이후 끊임없이 민주화됐고 이뤘다는 ‘승리담론’이 존재한다. 그 과정에서 91년 5월 투쟁이 잊힌 것”이라며 “91년 5월 투쟁의 실패담론을 통해, 다시 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라고 했다.
91년 5월 투쟁 당시 경북대학교 학생회장이었던 안영민 집행위원장은 “1993년 창립한 환경운동연합과 1994년 만들어진 참여연대는 91년 5월 투쟁의 성찰을 통해 ‘시민운동’이란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 결과라고 본다”라며 “특히 재야운동은 정치와는 거리를 둬야 한다라는 인식을 탈피한 것에도 영향을 끼쳤다. 91년 5월 투쟁의 경험과 성찰이 모여 2000년대 촛불투쟁의 씨앗이 됐다”라고 주장했다.
임형진 교수는 “오늘의 세미나를 통해 91년 5월 투쟁이 6월 항쟁이나 촛불 혁명처럼 의미 있는 평가에 인색하고 광주 민주화운동과 같은 상징성도 부족하다는 잘못된 관념에서 제대로 된 평가와 재인식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라며 “잘못된 과거사를 바로잡아 5월 투쟁의 진정한 가치를 새롭게 부각했으면 한다”라고 전했다.
이어진 2 세션에선 ‘91년 5월 투쟁과 언론보도의 특성, 평가, 바람직한 방향’을 주제로 이효성 청주대 교수가 진행하는 토론에서 김금녀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이완수 동서대학교 교수, 이유경 국제분쟁 전문기자가 다양한 논의를 했다.
토론에 앞서 이진로 영산대학교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민주화 운동 관련 언론보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대와 환경의 영향을 받는 대중과 활동가 주체의 주관적 및 객관적 조건의 변화를 반영한 활동 내용을 창의적으로 포착해 상상하고 구체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수 언론은 당시 정원식 국무총리 서리에 대한 한국외대 학생들의 달걀 투척과 밀가루 세례 사건을 계기로 패륜 행위로 규정, 비판하여 정부의 강경대응과 국면전환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줬다”라며 “이런 왜곡 등을 막기 위해 언론의 나아갈 방향은 건강한 민주화 운동의 담론 구성을 위해 정치의 확대·정파간 연대·아래로부터의 정치 등을 지향해야 하며, 시민의 인식과 판단의 자율성 존중·허위 이데올로기 견제를 위한 시민단체의 비판 필요하다”라고 짚었다.
한편 이번 ‘91년 5월 민주화운동 30주년 의미와 과제’ 세미나는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민주화운동기념공원이 주최 주관하고 경기신문·한국언론진흥재단이 후원으로 열렸으며 91년 5월 투쟁 강경대·김귀정 열사의 유가족 및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 경기신문 = 노해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