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은 지척에 있어도 오갈 수 없으니 지구의 반대편보다 더 멀리 있는 듯하다. 때로는 미움에 온 몸을 불사르다가도 때로는 술 한 잔에 목메는 날도 있다. 아니 생각하려 해도 기억을 소환하지 않고서는 나도 모르는 나를 이해할 수가 없어 취중에라도 목 놓아 불러보고 싶은 것이 고향이다. 술이라면 제일 먼저 아버지를 떠올린다. 세상살이 어려워 숫 덩이 같은 마음이라도 술 한 잔으로 해독할 수 있다며 이유를 붙여가시면서 드신다.
어떤 술을 마실가. 대부분 누룩을 발효시켜서 만든 증류이다. 알코올을 얻으려면 먼저 누룩이라는 곰팡이 균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것은 화학공장에서 나온다. 시장에 나온 것을 사다가 재료(가루)와 섞어 놓으면 곰팡이 균이 자라고 두 번째로 독에 넣고 보름 정도 지나면 술 익는 소리가 엄청 요란스럽다. 뚜껑을 열어 향긋한 냄새가 나면 잘 익은 것이고 시큼한 냄새가 나면 술도 시어져 버린다. 가마에 넣고 열을 가해 오르는 증기를 냉각시키면 관을 타고 떨어져 내리는 것이 술이다. 여기에 세신 뿌리나 오미자를 넣으면 정품보다도 더 맛있는 향기로운 술이 된다. 이 것을 서민들이 먹는 농태기(소주)라고 한다.
식량이 귀한 때일수록 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다. 이러한 현상은 밀주 단속으로 이어지면서 숨기려는 자와 찾으려는 자의 숨바꼭질이 이어진다. 아무리 감추려 해도 집안에서는 누룩이 발효되어 부글부글 끓는 소리를 숨기지 못하고, 방 아랫목에 어른의 허리 넘게 큰 독을 갑자기 옮겨놓지 못한다. 처음에는 솔 뚜껑을 뒤집어 술을 만들었는데 방법도 점점 정교해지고 술 기계를 전문적으로 만들어 파는 사람도 생겼다. 밀주가 성행한 것은 1990년대 이후이다.
술의 재료는 곡류와 산열매로 만든다. 산열매로 만든 도토리 술은 맑고 깨끗하다. 공장에서 정품으로 생산되는 유명한 술도 있다. 대동강 맥주, 개성인삼 술, 들쭉술은 매점에서 볼 수가 있으나 서민들이 마시는 술은 아니다. 술은 식량대체자원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국내의 소비보다는 외화벌이 수단일 가능성이 높다. 화학공장에서 에틸알코올 원액을 가져다가 물에 희석시켜 팔기도 한다.
어떻게 마실까. 혼자도 마시고 여럿이 모여 먹기도 한다. 술은 취하려고 마시기 때문에 도수가 높은 것을 좋아한다. 농태기에 길들여진 사람은 공장에서 제조된 술이 맞지 않고 정품에 익숙한 사람은 그것만 좋아하기에 맛에도 구별 짓기가 있다. 비즈니스로 먹기도 하고 친분을 쌓으려고 일부러 자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위하여’라는 건배사로 술잔을 부딪치기보다는 이야기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먹는다.
술 익는 마을에 취한 듯 살고 싶었던 사람들과 술을 무척이나 좋아했던 아버지, 고통스럽고 막막한 생활에서 탈출하려는 용기를 가지고 행동하게 만들었던 것은 한 잔 술에 녹아있는 알코올의 힘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