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헌정의 '오늘의 성찰'] 학문(學問)

2021.12.29 06:00:00 13면

 

학문의 중요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학문의 유익함이 증명되어야 한다. 그런데 학자들은 언젠가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말하고 있다.

 

종교적인 미신과 마찬가지로 이보다 더 나을 것도 없는 학문적 미신이라는 것도 있다.

 

정신 학문은, 모든 오락과 유희, 드라이브, 산책을 즐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무의 실천을 방해하지 않는 한 허용이 된다. 자신의 의무를 소홀히 하고 오락에만 빠지면 안 되듯이 참된 인류의 정신적 행복에 기여하지 않는 학문에 종사하는 것도 도의에 어긋난다고 할 수 있다. 

 

학문이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그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행복에 더욱 필요한, 더욱 높은 인식의 대상을 다루는 것이다.

 

뜻도 맨 처음부터 있는 뜻이요, 삶은 나중 끝까지 있는 삶이다. 처음도 나중도 밑도 끝도 없는 말씀을 하는 수 없이 그 한마디를 잡아 쳐든 것이 글이라는 것이요, 그 글을 이리 엮고 저리 짜놓은 것이 책이라는 것이다. 커도 말 끄트머리, 작아도 말 끄트머리, 바로 놓아도 말 끄트머리, 뒤집어놓아도 말 끄트머리다.


네가 처음 속에 나중을 보며, 나중 속에 처음을 보고, 껍데기 속에 속을 읽으며, 속 속에 껍데기를 읽는다면, 알지 못해도 안 것이요, 풀지 않아도 푼 것이다./ 주요출처: 톨스토이 《인생이란 무엇인가?》

조헌정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