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사를 앞둔 한국 첫 달 탐사선 ‘다누리호’가 목표 달성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5일 오전 8시 8분(현지시간 4일 오후 7시 8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SpaceX)사의 발사체 팰콘9을 통해 달로 갈 예정이다.
앞서 다누리는 약 한 달간 기능 점검과 연료 주입, 발사체와 조립 등 사전 작업을 모두 마쳤다. 전날 오전엔 팰콘9에 실려 전용 40번 발사대로 이동했고, 발사대에 기립을 완료했다.
이날 발사 약 38분 전부터는 연료와 산화제 충전이, 35분 전부터는 발사 자동 운용이 가동된다. 15분 전부터는 외부 전원을 내부 배터리로 바꿔 사실상 발사 초읽기(카운트다운)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 다누리는 발사 약 40분 뒤 발사체에서 분리되고, 이어 약 20분 뒤엔 지상국과 최초 교신할 예정이다. 다누리가 목표한 ‘달 전이궤적 진입’ 성공 여부는 발사 후 약 5~6시간 후인 오후 1~2시쯤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선인 다누리는 우주탐사 기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됐다”며 “발사 및 달 궤도 전이 후 1년간 달 표면 촬영, 우주 인터넷 검증, 달 극지방 촬영 등 과학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황진영 전 회장(박사)은 경기신문과 통화에서 “다누리호는 우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이라며 “기술적으로도 성숙됐고, 우리의 우주 개발 영역이 지구를 벗어나 우주로 나아간다는 첫 출발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황 전 회장은 “이번엔 우리 발사체가 아니라 아쉽지만 지난번 누리호 발사를 통해 우리도 발사 역량을 갖추게 됐고, 2030년을 목표로 달 탐사선이나 착륙선을 보낼 한국형 발사체가 개발이 되면 다음엔 (한국에서) 쏘게 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 경기신문 = 강현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