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현장 대응에 與도 화났다…“응당 책임 물어야”

2022.11.02 12:31:41 4면

이태원 참사 발생 4시간 전 압사 우려 신고만 11차례
애도기간 이후 참사 관련 여야정·전문가 특위 제안
이상민·윤희근 해임 논란에는 "사실관계만 말할 것"

 

국민의힘은 ‘이태원 참사’ 4시간 전 수차례 심각성을 알리는 신고접수가 있었던 사실이 알려지자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왜 잘못 판단했는지 응당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사고 발생 4시간 전 현장에서 압사를 우려해 경찰에 현장 통제를 요청하는 112 구조 신고가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위원장은 “정부의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다. 156명의 시민이 숨진 이태원 사고에 대해 무한한 책임이 있다. 책임을 미루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네 번이나 현장 출동했던 경찰이 현장에서 판단이 왜 잘못됐는지, 왜 현장에서 조처가 취해지지 않았는지 원인이 밝혀져야 하고 응당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애도 기간이 끝나는 즉시 여야정과 전문가가 참여하는 이태원사고조사특별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 별도로 당내에도 특위를 구성하겠다”며 공개 제안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12, 119 신고 녹취록을 듣고 많은 국민이 충격 받고 분노하고 있다”며 “이렇게 많은 사람이 모이는 집회에 왜 용산구청과 서울시, 용산경찰서와 서울경찰청이 사전에 대비하지 못했는가 하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애도 기간이 끝나면 철저한 원인 조사와 상응하는 책임 추궁, 그에 따른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참사 관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의 해임논란이 나오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즉답을 피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일단 진상규명과 사실관계에 대한 원인이 다 밝혀진 다음에 책임을 물어야한다”며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사실 관계만 말하겠다”며 “가치 판단이 필요한 답변은 드리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이날 국민의힘 이태원사고조사특별위원회 제안에 “정식으로 당에 (제안) 받은 것은 아직 없다”며 “추후에 논의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태원 참사’는 지난달 29일 밤 10시 22분쯤 발생했다. 사건 발생 4시간여 전인 오후 6시 34분쯤 압사 위험을 알리는 신고가 처음 접수, 총 11차례 유사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드러났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김한별 기자 hbkim@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원본사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일로 8, 814호, 용인본사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974-14번지 3층 경기신문사, 인천본사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545-1, 3층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경기, 아52557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