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학교 급식실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비판하며 인천시교육청에 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인천학비연대는 2일 시교육청 앞에서 ‘신학기 학교급식실 결원대책 및 폐암 확진자 학교복귀 대책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는 학교급식실의 높은 노동강도와 낮은 처우 여건이 곧 학교급식의 질 저하를 불러올 것이라며 급식 노동자 채용 문제를 지적했다.
실제 지난 3월 기준 인천지역 급식실 노동자 신규채용 미달 인원은 180명이다. 모집인원 526명에 비하면 미달률 34%로 총 1/3 가량의 인원이 부족한 셈이다.
인천지역 학교 급식실 결원 수는 200명이다. 정원 대비 결원율은 7%로, 인천·서울·경기·충북·제주 5곳 중 2순위로 높다.
노조 측은 “정년퇴직·사직으로 인한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한 채용공고는 매번 미달상황이 반복된다”며 “채용되더라도 인원이 모자란 채 급식 노동자들이 일터를 떠나는 현실에서 문제해결은 교육 당국이 ‘직접’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무원에게 유급질병휴직이 적용되면서도 교육감 소속 조리실무사에게는 무급휴직이 적용되는 것에도 불만을 토로했다.
노조는 결원에 대한 주요 마련 방안으로 ▲대체인력 전담제 ▲대체인력 서류 간소화 등을 교육청에 제시했다.
아울러 ▲냉·난방기 설치 ▲조리흄 발생 음식 주2회 이하 요리 ▲고강도 노동 시 반제품 사용 등 노동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상·하반기 조리실무사를 채용하고 있다”며 “채용 응시자들이 많아질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어 “대체인력과 무급질병휴직 부분과 관련해서는 아직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수습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