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책 필요한 서해 해양 쓰레기 문제

2024.10.07 06:00:00 13면

매년 해양쓰레기 증가...전용소각장 설립 시급하다

해양쓰레기 문제가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된지 오래다. 대표적인 것이 ‘쓰레기섬’이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로써 부유성 쓰레기가 북태평양의 환류를 타고 모인 지역이다. 90% 가량이 썩지 않는 비닐과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져 있는데 심각한 것은 쓰레기 섬이 점점 자라고 있다는 것이다. 2011년쯤엔 남한 면적의 절반 정도였지만 2018년경 한반도면적의 약 7배, 남한면적의 약 15배 크기인 155만㎢까지 불어났다고 한다. 태평양 쓰레기 섬뿐 아니라 지구 바다에서 곳곳에서도 쓰레기섬은 발견된다. 이 면적을 합치면 지구 표면의 25%나 된다니 끔찍한 일이다.

 

이 해양 쓰레기들은 해양생물에게 큰 피해를 입힌다. 주둥이가 장어잡이 통발에 낀 하와이 뭉크물범, 빨대가 코에 껴 피 흘리는 바다거북이 발견됐다. 죽은 향유고래의 배를 가르자 사인(死因)으로 추정되는 그물과 통발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와 충격을 주기도 했다. 인간이 저지르고 있는 해악은 인간에게 돌아오고 있다. 어획량이 감소되는 것은 물론 눈에 보이지 않는 조각으로 분해돼 바닷물에 섞인 미세플라스틱을 플랑크톤이 먹고, 그 플랑크톤을 먹은 물고기를 우리가 먹는다.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이 업보처럼 사람의 몸으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몇 년 전 글로벌 환경보전단체인 세계자연기금(WWF) 소속 호주 뉴캐슬 대학 연구팀에서 연구한 결과는 놀랍다. 인간은 1인 당 매주 신용카드 1장 분량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것이다. 물론 해양생물에서만 미세플라스틱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플라스틱 병에 든 생수, 소금, 맥주 등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은 검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심각한 해양쓰레기 문제를 안고 있다. 해안 곳곳이 바라에서 밀려온 플라스틱, 스티로폼, 폐어구 등 해양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주민들이 치우려고 하지만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양이 많아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이 가운데는 북서풍을 타고 외국에서 밀려오는 해양 쓰레기가 많다. 특히 외국 쓰레기 중에는 중국해역에서 넘어오는 것이 대다수다. ‘2021년 국가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은 한국 해역으로 넘어온 외국 기인 쓰레기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96.1%로 압도적이라고 밝힌바 있다. 특히 서해5도의 경우 중국 해역에서 떠내려 오는 쓰레기가 많다.

 

이에 정부는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 환경협력공동위원회 등 두 나라 간 협력기구를 통해 해양쓰레기 공동조사와 어선의 해양투기 예방 등에 대한 협력을 지속 논의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중국 측에 좀 더 강하게 대책마련을 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청정한 바다’를 내걸었었다. 10년 안에 연간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을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해양수산부도 지난해 ‘해양 쓰레기 저감 혁신대책’을 내놓았다. 그런데 이 대책이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하거나 축소한 것이다. 해마다 동·서·남해안 60곳에 버려진 쓰레기를 분석해 양과 출처 등을 확인하는 해안 모니터링 사업예산은 전액 삭감됐다. 해양 미세 플라스틱 오염 대응 관련 기술 연구개발(R&D) 예산도 작년보다 67%나 깎였다.

 

서해 5도 등 수많은 섬과 바다를 끼고 있는 인천은 매년 해양쓰레기가 증가, 골치를 앓고 있다. 시가 수거한 해양쓰레기 양은 2021년 5100톤, 2022년 5190톤, 2023년 5512톤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그럼에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없다. 경기신문(8월 29일자, 인천판 1면 ‘해양쓰레기 매년 증가하는데 전용소각장 설립은 하세월’)에 따르면 인천시가 섬 지역에 전용소각장 건립을 계획하고 있지만 여전히 ‘검토’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섬 지역에 해양쓰레기 전용소각장을 건립하기 위한 수요조사를 진행했다. 옹진군·강화군 등에 전용소각장 건립 의사가 있는지 등을 조사한 후 옹진군 섬에 건립하는 안을 검토했다. 그런데 주민 동의와 부지 확보 문제가 걸림돌이 되어 진행이 지지부진하다고 한다. 소각장이 기피시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송도·청라소각장 반입도 어렵다. 염분이 많은 해양쓰레기 특성상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될 수 있고, 소각시설이 고장 날 위험도 크단다.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특히 섬 지역 소각장 건립을 위해서 시가 더 진취적으로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고 소통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