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 보험사 등 비은행권의 가계부채가 심상치 않은 증가세를 보이자 금융당국이 '풍선효과'를 차단하기 위해 2금융권을 긴급 소집한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확대하는 등 추가 규제도 검토하고 나섰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오는 15일 상호금융, 보험사, 저축은행, 여신전문 금융사·협회 관계자들을 불러 가계부채 관리 강화를 촉구하는 회의를 연다. 지난 11일 은행연합회, 2금융권 협회,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과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한 지 나흘 만이다.
금융당국이 이들을 별도로 소집하는 것은 은행권이 가계대출을 바짝 조이면서 2금융권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분위기가 감지됐기 때문이다. 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릴 경우 금융당국 최대 현안인 가계부채 속도 조절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아직 10월 영업일이 얼마 안 되기 때문에 더 지켜볼 필요가 있긴 하지만 긴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달 증가액이 1조 원을 넘어서는지 여부가 '풍선효과'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점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10월 이후 줄곧 감소하던 2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8월 5000억 원 증가 전환한 바 있으며 지난달에는 다시 5000억 원 감소했다.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1조 원 이상 불어나는 것은 2022년 5월(1조 4000억 원) 이후 약 2년 반 만이다.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2금융권 가계대출 수치가 안정적이진 않다"며 이날까지 집계된 수치를 보면 이달 가계대출 증가액이 1조 원을 넘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2금융권 회의에는 금융협회뿐 아니라 새마을금고와 농협중앙회, 삼성생명, 한화생명 등 개별 금융사들이 참석자에 포함됐다. 최근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나타나거나 우려되는 곳들로 당국이 개별 금융사에 '경고장'을 날릴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지난달 가계대출이 2000억 원 늘면서 증가 전환했는데, 상당 규모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주담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에서 2금융권으로 대출 이동이 본격화할 경우 추가 대책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50%인 2금융권 DSR 한도를 1금융권(40%)에 준하는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는 "개별 회사들이 차주의 소득수준, 지역, 연령별 DSR 수치를 세밀하게 관리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