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공공배달앱인 ‘배달특급’의 차별점으로 꼽히는 ‘경기지역화폐 결제’를 민간배달앱에까지 가능하게 하면서 배달특급의 경쟁력이 더 후퇴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도는 배달앱 시장의 독과점 체제 개선을 위해 지난 2020년 12월부터 배달특급을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저조한 이용률을 보이는 데다가 운영 예산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10일 경기도의회 등에 따르면 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는 지난 8일 도 경제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도의원들은 이날 행정사무감사에서 도가 지난 3일 민관협력 제휴 배달앱으로 신한은행의 ‘땡겨요’와 ㈜먹깨비의 ‘먹깨비’ 앱을 선정한 것에 대해 “도가 스스로 배달특급의 이점을 포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는 이번 제휴 배달앱 선정에 따라 다음 달까지 땡겨요·먹깨비에 경기지역화폐 결제시스템을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지역화폐 결제시스템은 배달특급만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병숙(민주·수원12) 도의원은 도의 제휴 배달앱 선정과 관련해 “도가 배달특급만의 메리트를 땡겨요와 먹깨비에게도 주는 것은 배달특급 대신 경쟁업체를 지원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제휴 배달앱 선정으로 경기지역화폐 활용처가 확대되는 효과도 있겠지만 배달특급 이용자들이 다른 배달앱을 사용하게 되는 부작용을 염두해야 한다”며 “일각에서는 도가 배달특급을 운영을 포기하려고 한다는 의혹이 제기된다”고 했다.
여기에 배달특급 관련 예산이 매년 감액되고 있어 도가 배달앱 시스템을 보완하는 등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이재영(민주·부천3) 도의원은 “배달앱 독과점 문제는 공공이 나서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다. 도는 관련 예산을 줄이기보다 앱의 홍보, 이용 불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며 공공개발앱 관련 예산 증액 필요성을 피력했다.
이어 “다른 민간 업체들의 경우 소상공인뿐 아니라 배달라이더들에 대한 지원·홍보를 아끼지 않는다. 도는 사례를 참고해 정책을 다시 설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배달앱 독과점 체제가 이어지면서 배달특급 흥행에 물이 들어온 시기에 도가 민간배달앱을 동시에 활용하겠다고 발표했다”고 한 뒤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했을지 의문”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이기환(민주·안산6) 도의원은 “지난 2월 지역화폐 가맹점 지위를 상실한 곳이 배달특급 앱상에선 지역화폐 가맹점으로 나와 이용자들이 불편을 호소했다. 8월에도 폐업 가맹점들이 영업 중인 것처럼 앱상에 노출된 일이 있다”며 앱 이용상 불편을 개선할 것을 주문했다.
이에 허승범 도 경제실장은 “(도가 배달특급 운영을 포기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배달특급) 정책보다는 경기지역 소상공인들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도의 목적”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만약 배달특급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공공성을 가진 다른 업체가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배달특급 관련 예산은 지난 2021년 137억 원에서 올해 약 60억 원으로 매년 감액되는 추세다.
배달특급 월별 이용자 수는 지난 2021년 12월 약 60만 명에서 지난해 9월 약 30만 명으로 절반가량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