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들의 오랜 염원이었던 경인고속도로의 연장 및 지하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시는 민선 8기 주요 공약사업이자 주민 숙원 사업인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 사업이 23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타당성을 확보해 사업 추진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그동안 단절됐던 도시 공간이 새로운 측면으로 바뀌게 되면서 시민 불편 해소는 물론 극심한 정체 문제와 원도심 지역의 교통혼잡도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해당 사업은 서구 청라동에서 서울 양천구 신월동까지 총연장 15.3㎞ 구간에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지하에 신설하는 것으로 총사업비는 예타조사 기준 약 1조 3780억 원이다.
예타 통과에 따라 2027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당초 예타 통과 과정에서 경제성(B/C)이 낮아 어려움이 예상됐으나 시는 경제성 향상을 위해 관련기관 및 지역 국회의원과의 긴밀한 협력과 네트워크를 구축해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특히 유정복 시장은 지난해 말 예타조사의 핵심 단계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재정사업평가 분과위원회에 직접 참석해 인천 원도심 활성화와 상부도로의 녹지 이용 등을 위해 경인고속도로의 지하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지난 17일에는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을 만나 예타 통과와 조기 사업추진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 사업은 지상과 지하를 이중화해 도로 용량을 대폭 확대한다.
기존 지상부 고속도로는 일반도로로 전환해 평면 교차로를 조성하고, 중앙부 차로를 축소해 일부 녹지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상부 통행료를 무료화하고 상부공간을 시민들에게 돌려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도심을 동서로 관통하며 발생했던 도시 단절 문제와 미관 훼손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복 시장은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는 인천시민의 오랜 염원이 실현되는 뜻깊은 성과”라며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해 사업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추진해 시민들께 실질적인 혜택을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정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