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경기도의회 의원이 경기도에 법적으로 배치가 불가능한 도의회 대표단 보좌 직원의 증원을 요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 도의원은 실제로 해당 인력의 활용 계획을 놓고 다른 당의 대표단, 공무원들과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2일 경기신문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양우식(국힘·비례) 도의원은 지난 제384회 정례회(6월 10~27일) 기획재정위원회를 앞두고 진행된 업무보고에서 도의회 소속 별정직공무원 2명을 요구하고, 경기도서관과 관련한 보고를 요청했다.
업무보고는 도의회 기재위원들을 상대로 지난 5월 이뤄졌으며, 도는 경기도서관 등 도·도의회 부서를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추진하기에 앞서 사전 보고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양 도의원은 도 조직개편을 전담하는 기획조정실 소속 공무원들에게 별정직공무원 증원을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신문 취재 결과, 야당 소속의 양 도의원은 자신이 직접 도의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관계 공무원들에게 별정직공무원을 2명 증원한 뒤, 여야 대표단 몫으로 1명씩 배치할 것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과 ‘지방공무원법’ 등에 따라 별정직공무원은 지방의회 내에서 의장 비서실 보좌 직원과 상임위원회 전문위원으로만 임명할 수 있다.

그러나 양 도의원은 의장 비서실에 별정직공무원을 배치하고서 여야 대표단 보좌 업무를 맡게 하는 방식으로 법을 우회하는 방법을 관계 공무원들에게 전하며 편법을 종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의회 민주당 대표단 소속의 한 의원은 “(도의회 국민의힘 수석부대표 시절) 양 도의원과 별정직공무원 증원에 대해 논의한 적이 있고, 정상적인 방법이 아니라고 판단했다”며 “현재 여야 도의회 대표단에 근무하는 직원들도 적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배치된 인력만으로도 대표단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관계자도 “예전부터 그런 요구가 있었다는 것에 대해 알고 있다”며 “올해 초까지 별정직공무원 증원과 관련해 (양 도의원의) 요구사항이 계속해서 있었다는 것을 전해 들었다”고 덧붙였다.
경기신문은 양 도의원의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 연락을 취했으나 닿지 않았다.
한편 양 도의원은 지난해 도의회 대표단 대표의원이 인사위원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경기도의회 공무원 인사 일부개정규칙안’을 대표 발의해 의장 인사권 침해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