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출범을 목표로 둔 ‘인천시사편찬원’의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방선거 이후 시장이 바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연속성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이유다.
23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인천시사편찬원 설립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지만 아직 내부 검토를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다.
시는 조직의 크기나 성격 등을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편찬원은 인천의 역사 편찬을 전담하는 기구로 설립된다. 지역민의 정체성과 역사 편찬의 전문성을 높이는 게 목표다.
역사 편찬 기구에 대한 언급은 1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는 지난 2010년 학술회의 ‘지역연구 현황과 시사편찬의 방향’을 열었고, 인천시사편찬의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후 시의회와 시민단체 사이에서 편찬원 설립 논의가 오가는 등 전문 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유정복 시장의 민선 8기 시민 제안 공약에도 포함됐다.
오랫동안 염원해 온 만큼 편찬원 운영에 대한 기대도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런데 내년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로 뽑힌 시장의 업무는 같은 해 7월부터 시작한다. 공식 출범 목표일인 6월을 갓 넘긴다.
만일 유정복 시장이 임명한 시사편찬원 원장 등 기관 인사가 교체된다면 운영 초기에 혼란이 따를 수 있다.
출범을 아예 앞당기거나 늦춰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유경희 시 문화복지위원장은 “올해 안으로 진행이 된다면 몰라도 내년으로 넘어갈 경우 운영하는 데 추진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시는 용역 결과 공개, 편찬원의 정확한 설립 시기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사편찬원 설립은 시급성 면에서는 밀릴 수 있어도 오랫동안 공감대를 쌓아 오면서 진행 중인 사안이다”며 “정권이나 시장이 달라진다고 해서 설립 등 운영에 큰 문제가 생길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유지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