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가 사람이 머물고 상권이 살아나는 민생경제 도시 조성을 목표로, 민생안정과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체감도 높은 실질적 경제 회복 정책을 추진한다.
홍명희 경제문화국장은 12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장기적 경기침체, 정국 불안 등 지속되는 경제위기 속에 경제적 약자인 소상공인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새롭게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생안정지원금부터 광명사랑화폐까지… 새 정부와 발맞춘 민생 지원 정책
올해 광명형 대표 민생정책으로는 지난 1월 전 시민에게 광명사랑화폐(지역화폐) 10만 원씩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을 꼽을 수 있다.
민생안정지원금은 올해 초 정국 불안과 경기침체로 위축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광명시가 자체적으로 시행한 민생정책으로, 올해 초 경기도 시군 중 광명시와 파주시 단 두 곳만 지급했다.
지난 1월 9일부터 3월 31일까지 약 26만 명이 신청해 광명시 전체 인구의 93.4%가 받았으며, 지급액 중 약 98.9%가 사용되며 민생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그 결과, ‘경기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일일상황보고(8월 10일 오후 6시 기준)’에 따르면 지급 대상 28만 1674명 중 27만 1566명이 지급받으며 약 96.4%의 지급률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역경제의 실핏줄, 지역상권이 살아야 지역경제가 산다… 지역상권 경쟁력 강화
지역상권은 지역 곳곳에 활력을 불어넣는 지역경제의 실핏줄과 같은 존재다. 지역상권이 무너지면 지역경제 전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광명시는 지역상권 회복과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시는 2019년 ‘광명시 소상공인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해 지역상권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했고, 2020년에는 경기도 최초로 ‘광명시자영업지원센터’를 설립해 체계적인 소상공인 지원체계를 갖췄다.
▲지역상권 자생력 높일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생태계 구축
최근 광명시는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주관 ‘2025년 상권 친화형 도시 조성 사업’ 공모에 참여해 시범사업 추진 지자체에 선정되며,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먼저 소상공인 지원 인프라 확충을 위해 현장밀착형 소상공인 원스톱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장인(匠人)대학을 운영한다. 또한 선진상권 정책연수를 실시해 소상공인의 경영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상권 기반시설과 환경 개선에도 나선다. 고객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상권별 가변 주차장을 설치하고, 경관조명을 설치해 ‘빛의 거리’를 조성하거나 특색 있는 상권 조성을 위해 ‘레트로 거리’를 만들 예정이다.
아울러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과 홍보를 위해 상권 특성화에 맞춘 지역 대표 축제를 개최하고,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하는 상생 플리마켓과 소상공인 상생한마당을 운영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원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