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카드가 정부의 ‘상생페이백’ 정책에 발맞춰 전 카드사 사용내역을 통합 분석하고 환급 예상액을 사전에 안내하는 서비스를 20일 출시했다. 소비자는 이를 통해 혜택 가능 여부와 예상 환급액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일 하나카드(대표 성영수)는 고객의 마이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전 카드사 월별 사용금액을 분석해 환급 예상액을 안내하는 ‘상생페이백 예상 환급액 안내 서비스’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상생페이백은 정부(중소벤처기업부)가 오는 9월부터 11월까지 추진하는 소비지원 정책으로, 소상공인 가맹점에서의 카드 사용액이 2024년 월평균보다 늘어나면 그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것이 핵심이다. 1인당 월 최대 10만 원,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어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매출 회복 효과가 기대된다.
하지만 카드사별 사용내역이 흩어져 있어 소비자가 자신의 총 사용액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그간의 문제였다. 하나카드는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이를 해결하고, 고객이 '얼마를 써야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정부의 소비 회복 정책이 효과를 거두려면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필수”라며 “이번 서비스를 통해 정책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마이데이터 기반 금융서비스의 실용성과 대중성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9월 중 열릴 정부의 상생페이백 공식 페이지와도 연계해 소비자들이 환급액 조회, 카드 사용 내역 확인,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