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전용기에 올라 “최종적으로는 현실적이고도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며 각오를 다졌다.
이 대통령은 24일 새벽 일본 도쿄에서 출발해 미국 워싱턴DC를 향해 가는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가의 공공 이익을 최우선에 두겠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있다. 자국 중심주의가 강화된 국제 질서 속에서 우리 국익을 지키기 위해 냉정하고 치밀한 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을 대비함에 있어 이 대통령은 그가 자신의 협상의 기술에 대해 직접 쓴 책을 읽었다고 밝히며 “그 방식이 거칠고 힘들겠지만 충분히 대비 가능하다. 국민 기대를 다 채우지 못하더라도 실망은 드리지 않을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또 정상회담 실무 준비와 관련해선 “의제들은 미리 협의되고 있고, 현장에서 갑자기 결정되는 일은 많지 않다”며 이번 회담도 무리한 수준은 아닐 것이라는 신중한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언급하며 유사시 대만 개입 가능성을 꺼내들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그런 구체적 요구가 공식 회담에서 직접 나오진 않는다”면서도 “유연성 요구가 있는 건 사실이나, 우리로선 쉽게 동의하긴 어렵다”고 분명히 했다.
이어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는 우리 입장에서도 필요한 사안이지만, 그 단어와 의미를 놓고 조율이 필요하다”며 “협상 과정이 험악하진 않다”는 현장 분위기를 전했다.
미국이 최근 관세협상에서 제외됐던 농축산물 시장 개방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이미 타결된 합의를 뒤집은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통령은 또 ‘친중 논란’에 대해 “친중도 혐중도 없다”며 “국익에 도움이 되면 가까이, 아니면 멀리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나아가 “우리는 외교안보 관계에 있어서 대한민국 국익을 중심으로 실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한미일 동맹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다른 중요 국가의 관계를 단절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대북 관계, 특히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단계적 비핵화 접근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비핵화는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대한민국 정부가 일관되게 견지해온 입장”이라며 “완전한 비핵화는 평화와 안정, 세계 평화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핵화가 당장 일거에 실현 가능한 목표냐 하면 비현실적이라는 걸 누구나 안다”며 “그래서 동결이 아니라 중단, 일단 멈추고 축소하고, 종국에는 비핵화로 가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최근 지지율 하락에 대해서 이 대통령은 “국민의힘 전당대회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본다”며 “제 국정에 대해 국민 일부가 비판적 시각을 갖고 있는 것도 인정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러면서 “정치는 표현이나 포장을 잘해서 일시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국민 삶의 조건이 개선되는 것”이라며 “그게 결국 지지율로 최종 평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