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년 동안 옥고를 치른 ‘비전향 장기수’ 안학섭 씨의 북송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오전 11시 인천시청 광장 앞에서는 ‘안학섭 선생 송환을 촉구하는 인천시민들’이 주최하고 ‘인천자주평화연대‘가 주관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들은 안 씨의 송환이 정치적 판단이 아닌, 국가가 마땅히 이행해야 할 도덕적 책임이며 인도적 조치라고 주장했다.
정세일 만오홍진선생기념사업회 상임대표는 “인간에게는 스스로가 묻히고 싶은 곳을 정하고 그곳에 누울 수 있는 자유와 권리가 보장돼야 한다”며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러한 것들은 인권에 해당하는 만큼 안 씨가 원하는 곳에 묻혀 영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뒤이어 인성재 인천자주평화연대 상임대표의 발언이 이어졌다.
이 대표는 “140여 명의 시민들이 서명을 통해 안 씨의 송환 의사에 동참하고 있다”며 “지역 내에도 안 씨의 의지를 지지하는 시민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설명했다.
안 씨는 인천 강화군 하전면 출신으로, 한국전쟁 때 북한군에 입대한 후 지난 1953년 4월 체포돼 국방경비법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받았다.
이후 42년을 4개월 복역하다 지난 1995년 4월 출소했다.
그에게는 지난 2000년 9월 북한으로 넘어갈 기회가 있었다.
그해 6·15 정상회담을 계기로 3개월 뒤인 9월 판문점을 통해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송환됐다.
하지만 당시 안 씨는 미군이 철수할 때까지 투쟁하겠다며 북으로 넘어가지 않았다.
이후 3년 전부터 폐부종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된 안 씨는 최근 북측 송환을 정부에 요구하며, 지난 20일 인공기를 들고 경기도 파주 임진각에서 판문점 진입을 시도하다 군 당국에 제지당하기도 했다.
이적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 공동단장은 “정신적 조국인 북녘 땅에 돌아가고 싶다는 그의 바람은 국가안보 문제가 아닌 인도주의의 문제”라며 “살아서 송환되지 못한 장기수들이 지켜보던 북으로 마지막 걸음을 디딜 수 있도록 이제는 그 길을 열어야 할 시간이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이현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