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대표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이 사면초가에 빠졌다. 닭고기 공급난으로 가맹점주들과 소송전까지 예고된 가운데, 순살치킨 중량 축소로 소비자 불만을 자초한 데 이어 이번에는 가격 논란까지 불거졌다. 소비자에게는 ‘양 줄인 꼼수’를, 점주에게는 ‘자율가격제’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사실상 가격 인상을 방치한 교촌이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조류인플루엔자(AI)와 원가 상승을 이유로 가맹점 발주 물량의 절반도 제대로 공급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교촌 가맹점주 A씨 등 4명은 이르면 이달 중 법원에 약 1억 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예고했다. 점주들은 “발주 물량의 40%밖에 받지 못했다”며 손실액이 수억 원대에 달한다고 호소하고 있다.
또한 닭고기를 필수 품목으로 지정해 외부 구매를 막으면서도 제때 공급하지 않은 행위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에 가맹사업법 위반 신고까지 접수됐다. 교촌 본사는 AI와 원가 상승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점주들은 “책임 회피에 불과하다”고 반발한다.
공급난으로 점주 매출이 줄어드는 사이 소비자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교촌은 최근 순살치킨 메뉴의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 닭다리살 100% 대신 가슴살을 섞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가격은 그대로 두고 양과 질만 낮춘 조치에 소비자들은 “이게 꼼수가 아니면 뭐냐”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교촌은 최근 배달앱에서 점주가 가격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자율가격제’를 도입했다. 그 결과 일부 매장은 대표 메뉴 가격을 권장가보다 2000~3000원가량 높게 책정했다. 배달앱에서 같은 동네 매장 간 가격이 달라지는 ‘치킨 로또’ 현상까지 벌어지며 소비자들은 “치킨값도 복불복”이라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자율이라면서도 인상 폭에는 제한을 두고, 동시에 공급난으로 점주들의 수익성은 악화시킨 본사의 이중적 태도가 또 다른 불만의 불씨가 되고 있는 것이다.
교촌은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의 대표 브랜드를 자처해왔지만, 지금은 ‘신뢰 붕괴’라는 치명적 위기를 맞고 있다. 소비자에게는 중량 축소와 품질 저하로 외면받고, 점주에게는 공급난과 책임 전가로 고통을 전가하면서 스스로 무너지는 길을 선택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단기적으로는 비용 절감과 점주 불만 달래기에 급급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충성도와 업계 내 입지를 송두리째 잃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교촌은 날개·다리 부위 중심의 ‘콤보’ 메뉴 의존도가 높아 수급난이 더 크게 드러나는 상황”이라며 “경쟁사들이 공급가 보전이나 메뉴 다변화로 대응하는 것과 달리 교촌은 해법이 미흡해 소비자 불신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 경기신문 = 박민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