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9월 12일(금) ‘제2회 인체질환 극복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국제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서식하는 모든 미생물의 유전 정보를 의미한다. 최근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면역질환 등 전신 질환과의 연관성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를 활용한 진단 및 치료제 개발이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마이크로바이옴사업단은 2023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연구 과제를 통해 중증 뇌혈관질환 진단 키트와 신규 치료제 발굴 연구(연구 책임자: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준엽 교수)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중앙대광명병원 오창완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죽상동맥경화 조절(이화여대 박영미 교수) ▲허혈성 뇌졸중에서 장내 유래 생체활성물질의 보호 효과(한림대 정혜리 박사)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마이크로바이옴 특성(분당서울대병원 김준엽 교수)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과 뇌질환의 연관성(국립강릉원주대 박현봉 교수)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해외 연자로 초청된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 제이슨 크로포드(Jason Crawford) 교수는 ‘인간-미생물 상호작용의 대사 연구(Metabolism at the Human-Microbe Interface)’를 주제로 강연하며 글로벌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해 큰 호응을 얻었다.
김준엽 교수는 “마이크로바이옴이 인체 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각광받는 가운데, 심뇌혈관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의 연구 흐름과 미래 전망을 심도 있게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게 되어 뜻깊다”며 “이번 논의가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이양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