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2조 1942억 원 규모의 경기도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했다.
이번 추경안은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 예산 외에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지원이 절실한 수출 관련 기업에 대한 사업 예산도 다수 포함됐다.
21일 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 19일 열린 제386회 도의회 임시회(9월 5~19일) 제4차 본회의에서 올해 1회 추경(39조 2826억 원)보다 2조 9116억 원이 증액된 2회 추경안이 의결됐다.
도는 이번 추경에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지역화폐 발행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주요 사업 예산을 편성했다.
먼저 도는 민생경제 사업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 3조 1234억 원 ▲지역화폐 발행지원 990억 원 ▲배달특급 활성화 사업 10억 원 ▲경기패스 52억 원 ▲청년 월세 특별지원 94억 원 등 3조 2380억 원을 편성했다.
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도내 수출 관련 기업 지원을 위한 예산도 다수 편성했다.
도는 관세·수출 관련 기업 지원·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예산으로 44억 원을 편성했다.
미래산업과 관련된 사업인 AI실증 챌린지 프로그램, AI·양자기술 실증·컨설팅, 강소형 스마트 도시 조성 사업에도 35억 원을 반영했다.
이어 맞춤형 돌봄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으로는 총 1312억 원을, 저출산 위기 대응을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사업 17억 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사업 63억 원을 각각 편성했다.
성장기 아동·청소년에 대한 공공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친환경 학교급식 지원(29억 원),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8억 5000만 원) 사업 예산을 반영했고,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사업 예산으로는 111억 원을 편성했다.
도는 도민의 안전 확보를 위한 재난취약계층 화재안심보험(14억 원), 재난대책 및 수해복구비(326억 원), 홍수·태풍 등 재해 우려지역 정비·복구비(393억 원)를 예산을 편성하기도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9일 도의회에서 열린 제386회 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소중한 예산이 민생 경제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