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1인 가구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1인 가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도내 청년을 위한 주거 정책사업이 단순 전세·월세 지원 형태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전세·월세 지원은 대체로 생애 1회 혜택이 제공되는 일회성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청년 주거난 해결하는 데 실효성이 떨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24일 도가 통계청 인구총조사(2024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1인 가구는 177만 가구로 전국(804만 가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도내 시군 중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은 수원(10.4%), 성남(7.6%), 고양(7.3%), 화성(7.0%), 용인(6.2%) 순이다.
도내 청년(20세 미만~39세) 1인 가구 비율은 대부분 경기남부에 밀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청년 1인 가구 비율은 1인 가구 전체 34.9%이지만, 경기남부 시군의 경우 그 비율이 절반 수준을 보였다.
경기남부 주요 시군의 청년 1인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화성은 47.4%, 수원은 46.3%, 오산은 46.2%, 평택은 41.4%, 용인은 40% 수준이다.
도는 청년 주거 공급을 위해 전세·임대 지원사업과 임대주택 공급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전월세 지원사업은 월세, 전세, 보증금 등을 일부 지원하는 사업인데 대체로 생애 1회 혜택을 받거나 지원 비율이 낮아 정책적 체감이 적을 수밖에 없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에서 낮은 임대료로 많게는 수년까지 거주를 보장하는 청년 매입임대, 경기행복주택 등을 공급하고 있지만 청년 1인 가구가 밀집한 경기남부 지역에 대한 공급이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 최근 청년 등의 전세·임대 물량을 대부분 공급했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하반기 공공 전세임대 수시모집을 중단해 전세·임대 수요층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1인 가구 2만 호를 공급하는 서울형 공유주택(임대형 기숙사) 사업을 추진하는 등 1인 가구 정책을 다양화하며 도와 대조를 보인다.
서울은 전국에서 청년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다. 도는 서울의 뒤를 따르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임대형) 기숙사 같은 경우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며 “기존의 건설 물량에서도 특별 공급으로 신혼부부, 청년들을 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GH에서 잠재적인 수요를 파악하고 각 지역에 임대주택을 더 공급할지 검토하고 있다. 매입임대주택도 지역별로 차등을 줘 매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나규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