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협사회공헌재단이 사회적·경제적 약자를 지원하며 ‘사람 중심 금융’의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
신협사회공헌재단은 2018년부터 포용금융 지원사업을 통해 다양한 금융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8년간 42억 원을 지원했다고 23일 밝혔다.
신협중앙회는 ‘평생 어부바’라는 경영 슬로건 아래 ▲8·15 해방대출 ▲다자녀 주거안정지원대출 ▲소상공인 어부바 플랜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등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을 선보이며 포용적 금융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처럼 신협의 포용금융은 금융기관의 본업을 사회적 책임으로 확장한 대표적 사례로, 신협재단은 이러한 철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신협재단의 포용금융 지원사업은 단순한 재정지원이 아닌, 신협의 금융 본업과 직결된 ‘업(業) 연계형 사회공헌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재단은 신협이 추진하는 포용금융상품의 이자 부담을 완화하고, 금융 소외계층의 신용 회복과 경제적 자립을 돕는 등 금융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을 핵심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신협재단은 ▲고용·산업 위기지역 대출 이자 35억 3000만 원 지원 ▲다자녀가정 대출 이자 12억 6000만 원 지원 ▲고령자 공제료 4000만 원 등을 지원하며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청년·소상공인 등을 위한 금융상품의 이자 지원도 꾸준히 지속해 사회적 금융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있다.
김윤식 신협재단 이사장은 “신협의 포용금융은 금융기관으로서의 본업을 사회적 책임으로 확장한 모범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사람 중심의 금융을 통해 따뜻한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