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되면서 경기권 부동산 시장이 급속하게 얼어붙고 있다. 서울 전역과 함께 경기 12개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이며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사실상 차단되자, 매매는 물론 전세 시장까지 동반 급감하는 모습이다.
26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경기 아파트 매물은 대책 시행 첫날인 지난 16일과 비교해 약 3.1% 줄었다. 감소 폭은 크지 않지만 토허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사정이 다르다.
성남 수정구는 같은 기간 매물이 25.5% 급감했고 하남 23%, 과천 22.7%, 용인 수지구 21.6%, 안양 동안구 20.2%, 성남 분당구 18.7% 줄었다. 시장에서는 “서울보다 경기권이 더 크게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거래 감소는 현장에서도 체감된다. 하남의 한 공인중개사는 “대책 발표 전까지는 거래를 서두르는 분위기였지만 지금은 매물 자체가 사라졌고, 대출 규제로 갈아타기도 멈춘 상황”이라고 했다.
성남 분당의 중개업자도 “집을 팔아 상급지로 이동하려던 수요가 막히면서 거래가 뚝 끊겼다”며 “사실상 거래 절벽”이라고 말했다.
전세 시장의 위축은 더욱 두드러진다. 서울 전세 매물 감소율이 최근 2년간 23% 수준인 데 비해 경기권은 45.2%로 두 배 가까이 높다.
성남 수정구는 87.3%, 하남 76.7%, 안양 동안구 73.6% 감소하는 등 전세 매물이 ‘증발 수준’으로 줄었다. 임차인들은 재계약을 택하고, 신규 전세 공급은 위축되면서 시장 유동성이 빠르게 떨어진 탓이다.
다만 시장 냉각이 가격 조정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대책 발표 전 ‘막차 수요’로 급등했던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가 둔화했지만, 거래가 급감한 상황에서 가격 방향성을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6·27 대책과는 비교도 안 될 고강도 규제가 시장을 단기간에 얼려놓은 상태”라며 “앞으로 3~6개월 동안은 매매가든 전셋값이든 오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그 이후 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 전세 시장 불안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정책의 목적은 수요 억제를 통한 시장 안정이지만, 매물 잠김이 장기화할 경우 되레 가격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 대책이 실제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지 여부가 향후 부동산 시장의 기로가 될 전망이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