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인천시장 민선8기 공약인 ‘음악대학 설립·유치’가 무산될 위기다. 올해에 이어 내년도 예산에도 반영되지 못한 결과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음대설립을 위한 용역 추진을 위해 본예산에 이어 1차 추경에서 용역비 1억 원을 각각 반영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열악한 시 재정 여건이 불발을 촉진한 도화선이 됐다.
내년도 예산도 별반 다르지 않다. 재정 확보가 쉽지 않자 사실상 실패한 대표적인 공약으로 손꼽히고 있다. 여기에 수도권정비계획법도 복병으로 꼽힌다.
해당 법에서 인천과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일대에 대학 설립과 이전, 증설 등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은 이미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한 취지로 과밀억제권역에 해당돼 있는 지역 중 한 곳이다.
여기에 지역대학에 음대를 설립해 신입생을 뽑을 경우, 기존 대학의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는 문제도 뒤따른다.
앞서 시는 지난해 5월 미국 메네스 음대와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송도 인천글로벌캠퍼스에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해당 성과는 인천경제청 주체로 이뤄지는 사업으로 유 시장이 내세운 공약과는 내용과 방향성이 전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인천에는 인재 양성을 이어갈 음대가 안양대 강화캠퍼스 1곳이 전부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메네스 음대 유치는 유 시장 공약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사업은 아니다”면서도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한 일이니 만큼 최선을 다해 노력 중이다”고 강조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지역에 음악 실력을 높일 학교가 많지 않아 인재들이 다른 시·도로 진학하는 사례가 늘면서 이재 유출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지역 대학 대부분에서 음악학과가 전무한 탓에, 예술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부분이 서울과 경기 등 타 지역 대학으로 진학해야한다는 이유다.
배은주 인천연구원 도시사회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시가 음대 설립을 촉구하는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재역 대학들과 충분한 협의를 해야 한다”며 “중앙부처에도 법령 개정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지담 수습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