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등록 장애인 3명 중 1명이 우울 증상 등의 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대화를 나누거나 도움을 받을 사람이 없다고 답했다.
3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이러한 내용의 사회적 고립도 분석 결과를 담은 '2025 장애통계연보'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애인은 지난해 말 기준 263만 1356명으로 전체 인구 중 5.1% 비율이었다. 전년보다 1906명 줄었다.
장애인들의 사회적 고립도는 비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 중 '우울 등으로 인한 대화 상대가 필요할 경우 도움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19.5%였지만 장애인 중 해당 비율은 33.3%나 됐다.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도움 요청 대상이 없다'는 비율은 비장애인 48.1%, 장애인 65.6%였다.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도움 요청 대상이 없다'는 비장애인 25.8%, 장애인 30.0%였다.
등록 장애인 5명 중 1명(19.9%)는 우울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벼운 우울 증상'은 13.2%, '증간 정도'는 5.7%, '심한 우울증'은 0.9%였다.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 고령층은 145만 5782명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3%였다. 19세에서 34세 청년층은 15만 1504명으로 5.8%, 0세에서 18세는 9만 6383명으로 3.7%였다.
장애 유형별로 들여다보면 지체장애가 43.0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각장애가 16.8%, 시각장애는 9.4%, 뇌병변장애와 지적장애가 각각 8.9% 순이었다.
장애인의 건강상태조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 중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이 1개 이상 있는 비율은 82.4%였으며 3개 이상으로 대사증후군으로 분류되는 이들은 33.7%였다. 주요 위험 요인은 높은 혈당(55.4%), 높은 혈압(49.9%), 복부비만(35.7%) 등이었다.
그러나 주간 근력운동 시행 일수 조사에서 '없음'이라고 답한 비율은 73.5%에 달했다. '일주일 중 1일'은 6.2%, '2일'은 5.2%, '3일'은 5.7%였다.
그 외 주거 관련 통계에서는 장애인 가구의 소득 대비 집세(주택임대료) 비율이 28.0%로 비장애인 가구(16.7%)보다 11.3% 포인트(P)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경혜 장애인개발원 원장은 "장애인의 삶이 신체·사회적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신체활동 확대, 건강 관리, 사회적 관계망 지원을 결합한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방승민 수습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