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다음달 15일까지 대규모 자연재해로 확산되는 산불예방을 위해 ‘지역 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관리감독에 총력을 다한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대책본부를 가동해 “인위적 산불 원인 차단과 대형 산불 초기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 지휘체계 구축”을 목적에 두고 있다.
광주지역 산림비율은 약 65%로, 경기도 평균보다 높습 연중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된다.
특히 억새·낙엽 건조, 영농부산물 소각 증가, 야외활동 확대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시는 체계적 신고 체계 구축과 조직적 대응을 통한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본격적인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이번 대책은 신속한 초기 대응을 통해 불법 소각 차단하고 산불 취약 지역 중심 감시 강화 등으로 요약된다.
주말·휴일을 포함한 비상근무조(5개조)를 편성해 상시 대응하고, 산불전문예방진화대와 진화지원 선발대(시청 20명·읍면 22명)가 현장을 순찰·감시한다.
가장 눈에 띄는 조치는 지난 1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45일간 운영되는 임차 헬기 운영체계라고 할 수 있다.
산림·주택 인접 지역의 초기 진화 등을 위해 매년 가을철 배치되는 헬기는 난간 지형과 접근 어려운 지역의 신속 대응에 큰 역할을 해왔다.
또한 시는 자원순환과·자원지도팀 등 관계 부서와 협업해 ▲영농부산물 폐기물 투기 ▲불법 소각 ▲논·밭두렁 태우기 등 산불 원인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단속을 집중 실시한다.
대부분의 가을철 산불이 인위적 요인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시는 지난달 초부터 준비 작업에 착수해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모집 공고를 시작으로 10월 14일 비상근무조 구성하고 22일 장비 점검과 23~24일 헬기 계류장 정비 등이 이어졌다.
본격적인 산불예방 대책본부 운영은 10월 20일부터 시작됐으며, 산불 진화대 및 감시원 대상 전문 교육은 11월 20~21일 진행될 예정이다.
시는 이번 대책본부 운영을 통해 산불 발생 시 즉각적인 보고·전파 체계를 가동하고, 읍면동에서 자체적으로 산불방지대책을 수립·시행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건조한 가을철 특성상 대형 산불로 확대될 위험이 크다”며 “시민의 협조와 함께 행정력을 결집해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태호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