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에서 판교신도시에 맞먹는 2만 9000가구 규모의 공공분양 물량이 한꺼번에 풀린다. 정부는 주택 공급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그동안 아껴두었던 비주택 용지까지 주택용지로 돌리는 강수를 택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서울주택도시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인천도시공사(iH) 등 4개 공공기관은 26일 ‘2026년 수도권 공공택지 공공분양 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공급량은 9·7 주택공급 확대방안의 목표치(2만 7000가구)를 2000가구 웃도는 수준이다. 최근 5년간 수도권 연평균 분양(1만 2000가구)의 두 배가 넘고, 올해 공급량(2만 2000가구)보다도 32.2% 이상 증가했다.
수도권 전체 공급은 경기 2만 3800가구, 인천 3600가구, 서울 1300가구다. 지구별로는 3기 신도시 7500가구, 2기 신도시 7900가구, 중소택지 1만 3200가구가 분양된다.
3기 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물량은 고양창릉(3881가구)이며, 남양주왕숙(1868가구), 인천계양(1290가구)이 뒤를 잇는다. 2기 신도시에서는 평택고덕(5134가구)이 가장 많다. 서울에서는 고덕강일(1305가구)이 유일한 공급지다. 국토부는 “GTX와 광역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가 우수해 실수요자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9·7대책에서 예고했던 ‘공공택지 재구조화’ 제도도 첫 공개했다. 비주택 용지를 정례적으로 주택용지로 전환하는 방안으로, 사실상 공급 물량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다.
LH는 우선 추진물량 1만 5000가구 가운데 28%에 해당하는 4100가구 용도전환 계획을 국토부에 제출했다. 대상지는 ▲남양주왕숙(455가구) ▲파주운정3(3200가구) ▲수원당수(490가구) 등 3곳이다.
특히 파주운정3은 27만 4000㎡에 달하는 유보지를 주택용지로 전환한다. 이미 기반시설이 갖춰진 지역으로, 공급까지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평가다. 수원당수는 단독주택용지를 공동주택용지로 바꾸며, 내년 착공이 목표다. 남양주왕숙은 GTX-B와 경춘선 신설역 인접 지역의 유보지를 주택용지로 바꾼다.
그동안 비주택 용지 전환이 비정기적으로 이뤄져 왔던 점을 고려해 정부는 공공주택특별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대상지 선정부터 심의 절차까지 법제화해 전환 속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관련 법안은 지난 14일 민주당 박용갑 의원(민주·대전 중구)이 대표 발의했다.
김배성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기반시설이 이미 갖춰진 곳에서 자족시설을 주택용지로 바꾸면 최장 2년 안에 착공이 가능하다”며 “별도 법을 만들어서라도 속도전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안에도 수도권에서 추가로 5100가구가 공급된다. 이달 남양주왕숙(881가구), 군포대야미(1003가구) 등이 포함된다. 세부 내용은 각 공공기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착공 중심 공급체제로 전환한 9·7대책의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공공주택을 선호 입지에 빠르게 공급해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기회를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