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영(28·여·미추홀구)씨는 최근 사용하지 않던 페이스북에서 이상한 메시지가 오거나 친구들에게도 스팸·사기성 메시지가 발송된 것을 보고 해킹을 의심했다. 온라인 고객센터에 문의했지만 형식적인 답변만 왔고 계정 탈퇴도 쉽지 않았다. 결국 다른 계정을 만든 뒤에야 해킹이 의심된 계정을 삭제할 수 있었다.
함모(50·여·경기 김포시)씨는 스레드를 통해 알게 된 남성으로부터 스토킹에 가까운 댓글을 참아오다 끝내 경찰에 고소했다. 상대방을 차단해보기도 하고, 다른 계정을 만들기까지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함씨는 심리적인 불안함을 이기지 못해 모든 SNS(소설미디어) 계정을 끊고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인천지역 사이버범죄가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의 검거 건수도 급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등 온라인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접근이 쉬운 사이버범죄가 점차 고도화·지능화되고 있지만 경찰의 대응력 또한 높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27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지역에서 발생한 사이버범죄 건수는 모두 7만 8904건이다.
나열하면 ▲2022년 1만 6449건 ▲2023년 1만 8128건 ▲지난해 2만 1457건 ▲올해 2만 2870건(10월 기준)이다.
이에 따른 검거 건수도 매년 늘고 있다. 인천청은 같은 기간 4만 3680건을 검거했는데 이를 세분화하면 ▲2022년 8788건(53.4%) ▲2023년 9870건(54.4%) ▲지난해 1만 723건(56.6%) ▲올해 1만 4299건(62.5%·10월 기준)이다.
이 같은 검거율은 전국 검거율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전국 기준으로 세분화하면 ▲2022년 14만 3885건(62.5%) ▲2023년 13만 8171건(57.1%) ▲지난해 17만 140건(54.1%) ▲올해 17만 9181건(58.3%)으로 검거돼 인천청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인천청은 매년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등 사이버수사 인력을 확대 채용해 청 사이버범죄수사대 및 디지털포렌식계에 꾸준히 확대 배치하고 있는 성과로 꼽았다.
특히 해외 수사기관, 구글·페이스북 등 글로발 IT 기업과의 국제공조를 강화하고 사이버수사 유경험자를 중심으로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수사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천청은 경찰청을 통한 국제공조로 2014년부터 필리핀에서 5조 9000억 원대 기업형 도박사이트 31개를 운영한 운영자 203명을 포함해 모두 431명을 검거, 이중 37명을 구속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해외에 거점을 두고 있는 온라인 범죄 조직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갖췄다는 설명이다.
한창훈 인천경찰청장은 “사이버상에서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에 강력 대응하기 위해 전문인력과 기술 기반 수사 역량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며 “국제공조와 첨단 기술 도입, 피해자 지원 등을 강화해 인천시민아 사이버범죄로부터 안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지우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