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정부조직 개편안을 통해 농촌진흥청을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하겠다는 발표와 관련 17일 수원 농촌진흥청에서 생활개선회 각 시.도회장단들이 '농촌진흥청 폐지 결사반대' 성명서 발표 도중 구호를 외치고 있다./노경신기자mono316@
“정부의 농촌진흥청 폐지 결정에 대해 350만 농민들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사)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윤요근 회장은 16일 발표된 인수위의 농진청 폐지 결정에 대해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 우려했던 농진청 폐지가 현실화로 다가왔는데 이에 대한 농민들의 반응은.
▲ 우선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를 비롯한 농민단체들은 어제 인수위에서 발표한 조직 개편안에 대해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전체 18개 청 중에서 농진청만 거론된 것은 점차 정부에서 식량주권을 포기하겠다는 극단적인 결정으로 받아들여진다. 현재 우리 농산물 중 자급자족이 가능한 것은 쌀 정도에 불과하다. 앞으로 FTA 등에 따라 수입농산물의 범람 속에서 우리 농산물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 생산이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농업만이 살 길이고 기술농업의 거점인 농진청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에 전체 농민단체들은 함께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 그동안 농민들에게 있어서의 농진청의 역할과 폐지 결정에 따라 가장 우려되는 점은.
▲ 지금까지 농진청은 농업인이 필요한 새로운 기술과 품종 등을 개발, 도 농업기술원이나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보급해왔다. 하지만 이번 농진청 폐지 결정에 따라 이러한 전달체계가 무너질 것이다.
농진청이 출연연구기관으로 전환된다는 것은 결국 농진청 스스로 돈을 벌어서 운영을 하라는 것인데 농업은 공장과 다르다.
농진청을 경제원리로 봐서는 안된다. 농업은 식량 주권, 식량 무기이다. 지금 돈이 안된다고 포기하면 이로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
- 이번 농진청 폐지 결정에 대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
▲ 이제 남은 것은 국회 비준인 만큼 국회를 상대로 폐지 저지 운동을 할 계획이다. 우선 18일 전국 농민단체들과 함께 국회 앞 규탄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를 만나 우리의 요구를 전달할 것이다.
이와함께 국회 비준까지 국회의원들을 설득해 농진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그래도 안된다면 다른 농민단체들과 연계한 집회도 생각하고 있다. 한마디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