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등 도내 일선 지자체에 지원되는 유기동물 보호 관련 도비 보조금이 해마다 줄면서 내년도 사업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9일 도와 일선 지자체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연간 2만여 마리의 애완 동물이 버려지고 있고, 각 지자체는 버려진 애완동물 처리에 연간 20여억원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각 지자체마다 매년 30%의 비율로 도비 보조금을 지원하면서 유기동물 처리 비용을 분담해 왔다.
그러나 도는 그동안 지자체 예산 70%, 도비 30%의 일정 비율로 지원하던 도비보조금을 최근 3년 동안 매년 삭감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도는 2008년 전체 사업 예산 중 30%를 지원하던 도비 지원비율을 2009년 20%, 2010년 15%로 해마다 줄여 일선 지자체에 지원해 왔다.
도는 2008년 8억1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2009년 7억원, 내년에는 5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 때문에 도내 일선 지자체 등은 부족한 도비를 충당하기 위해 자체 예산을 반영하고 있지만 예산난으로 인해 이마저도 여의치 않아 내년도 유기동물 보호 사업의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더욱이 버려지는 동물이 크게 늘어나면서 보호 시설 설치가 절실하지만 혐오시설로 여기는 주민들의 반대로 입지 선정이 쉽지 않은데다 시설 설치비는 물론 운영비, 처리비 등이 매년 늘고 있어 새로운 부담거리가 되고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지자체가 편성할 수 잇는 유기동물 관련 예산이 한계가 있는데다 도비보조금 역시 해마다 줄면서 유기동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무엇보다 키우던 애완견을 버리지 않는 시민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도정 전반적인 예산난을 겪고 있는데다 내년부터 광역 유기동물보호소를 건립하면서 유기동물 사업을 점차 지자체로 이관하기 위한 조치 예산을 삭감했다”며 “유기동물 관련 국비 보조가 이뤄지지 않는 것도 원인인 만큼 지속적으로 국비 지원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