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장애인단체가 인천시에 전달한 9대 정책요구안에 대한 미흡한 답변을 규탄하는 집회를 갖고 진지한 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장애인의 권익향상과 자립생활과 장애인차별을 철폐를 위해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420 장애인차별철폐 인천공동투쟁단(이하 420인천공투단)’은 13일 시청 앞 현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9대 정책안에 대한 시의 성의있는 답변을 요구했다.
420인천공투단은 이날 “지난달 3일 시청 현관 앞에서 장애인차별철폐 투쟁 선포식을 개최하고 시 측에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9대 정책요구안을 전달했다”며 “그러나 답변서가 형식적에 불과하다 판단, 요구안 별로 장애인복지과, 교육기획관실, 대중교통과, 건축기획과로 나눠 국장급 면담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인천시 건설교통국은 면담을 통해 신규 저상버스 17대를 포함 총 63대의 저상버스 증차, 장애인 콜택시 13대 증차, 야간 장애인 콜택시 1대 증차 계획을 420인천공투단에 전달했으나, 장애인복지과를 포함한 다수의 실·국은 면담 요청조차 불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이 장애로 인해 차별받지 않고 진정으로 지역사회에서 비장애인과 함께 통합된 곳에서 살기를 원한다”면서 “이와 같은 진일보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가 의지를 가지고 9대 요구안에 대해 진지하게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면담 요청에 불응했다는 주장은 단체의 편의적인 주장으로 여러차례 면담의 자리도 갖고 의견을 검토·수렴해 방안을 제시하고 통보 했다”며 “앞으로의 부서별 일정을 고려해 면담의 자리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420인천공투단이 시에 전달한 9대 정책요구안은 장애인 활동보조권리보장, 자립생활센터 적극지원, 장애인 활동보조인 처우개선, 명심원 사태해결, 장애인 탈시설 권리 전면보장(장애인복지과), 발달장애인 전환지원체계수립 및 노동권보장(장애인복지과, 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주거권 전면보장(장애인복지과, 건축계획과), 장애인 이동권 보장(버스정책과, 대중교통과), 장애성인 교육권 보장(교육기획관)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