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최대 규모의 ‘도화역북측 주택재개발 정비예정구역’이 직권 해제된다.
시는 지난달 30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사업성이 없어 표류하고 있는 ‘도화역북측 주택재개발 정비예정구역’을 직권해제키로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도화역북측구역은 2010년 3월2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 반영(29만3천600㎡)됐으며, 공동주택과 단독주택 등이 혼재된 지역으로 인천시 주택재개발 중 가장 넓은 구역이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라 사업추진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주민들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지난해 10월1일 추정분담금 정보공개를 실시한 결과 비례율이 68% 확인됐다.
시와 남구는 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주민분담금이 크고 원주민 재정착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돼 정비예정구역을 직권 해제키로 했다.
도화역북측구역은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되더라도 현재까지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아 매몰비용이 없다.
또 건축제한이 해제돼 부동산 거래와 임대사업 등의 진행으로 도화역 주변의 골목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당초 정비(예정)구역 212개소에서 2012년 2월 1차 46개소 해제를 시작으로 이번 ‘도화역 북측구역’까지 정비(예정)구역 79개소가 해제된다.
‘괭이부리마을 혼합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포함한 저층주거지 관리사업 등 7개소를 기본계획에 반영해 지난달 현재 정비(예정)구역은 140개소로 축소됐다.
시는 올해도 정체되고 있는 정비구역의 추정분담금 정보제공을 통해 지역주민이 사업추진 여부를 판단토록 해 정비사업 해제를 선별해 나갈 계획이다.
단독주택 및 다세대주택 등이 밀집한 저층주거지역의 주거환경을 정비·보전·관리 형태로 저층주거지를 특화하는 주거환경관리사업을 확대 추진할 방침이다.
/김상섭기자 kss@